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선학원의 설립과 전개=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Seonhakwon
作者 김광식 (著)=Kim, Kwang-sik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創刊號 n.0
出版日期2006.12
頁次277 - 311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부천대학교
關鍵詞선학원=seonhakwon=禪學院; 수좌=sujwa=首座; 선방=seonbang=禪房; 선종=seonjong=禪宗; 선우공제회; 사찰령; 재단법인; 불교대중화; 범어사; 수좌대회; seonrichamguwon=禪理參究院
摘要선학원은 근대, 현대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갖고 있다. 그는 선학원이 한국 전통불교의 수호, 승려들의 항일의식 생산, 불교정화운동의 전개에 있어서 중심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선학원의 역사, 즉 설립과 전개 그리고 선학원을 이끈 주역들의 생애와 사상은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선학원은 일제 식민지불교가 불교의 전반에 침투하였던 1921년에 설립되었다. 그리고 선학원에서는 선방 수좌들의 선풍진작을 위한 단체인 선우공제회가 1922년에 결성되었다. 이렇게 선학원, 선우공제회를 조직, 결성한 승려들은 항일의식 이 투철하면서 불교를 천양하려는 의식이 강하였다. 그러므로 선학원 설립에는 일제 사찰령 구도에 저항하는 의식, 3.1운동에서 영향받은 민족의식이 개입되었다. 선우공제회는 본부를 선학원에 두고, 지부로서 전국의 각 선방 19개처를 두었다. 운영은 360여명의 회원들의 회비, 희사금으로 충당하였다.
그러나 1925년부터는 침체의 길을 갔는데, 이는 재정의 어려움이 주된 연유였다. 일시적으로 선학원은 범어사 경성포교당으로 전환되었으나 1931년 김적음에 의해 재건되었다. 재건된 선학원에서는 전국수좌의 중앙본부의 역할을 하면서도 참선지도, 교리 강연, 기관지 발간을 하면서 불교대중화에 나섰다. 선학원을 재건시킨 승려들은 선학원을 확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재정 확립에 유의하였다. 그 결과 1934년 12월, 선학원을 재단법인 조선불교 선리참구원으로 전환시켰다.
한편, 재단법인으로 전환시킨 승려들은 그 기회를 선풍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전국 수좌 및 선방의 조직체를 결성하였다. 1935년 3월, 선학원에서 열린 수좌대회에서 수좌들은 조선불교 선종이라는 독자적인 종명의 표방, 중앙기관 설립, 운영의 틀인 종헌, 규약을 제정하였다. 이후 선학원은 재산 증가, 선원 증설을 기하면서 선종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가혹한 일제말 식민통치의 구도에서 선학원도 자유스러울 수는 없었다. 선학원은 불가피하게 일제의 강압에 식민정치에 협조하였다. 그러나 해방되는 그날까지 선학원은 존속하였고, 일제도 선학원 존재 자체를 난감하게 여기었다. 그러므로 선학원은 근대불교에서 배제할수 없는 역사를 갖고 있으며, 선학원 역사는 민족불교 및 한국불교의 정체성 점검에도 중요한 대상이다.

Seonhakwon has a important phase in the modern buddhist history. That's why that Seonhakwon had a important role in the aspect of protection of korean traditional buddhism, inspiration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cleanup movement. This means that the history of Seonhakwon, the process of its foundation, and those who led a Seonhakwon need to be studied.
Seonhakwon was established in 1921 where Japanese colonial buddhism was spreading nationwide. Sunwoo benevolent society was made in 1922 to boost the promotion of Seon for the most Reverend Priest(SuJwa) practicing in the SeonBang.
Monks who founded these organizations had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were ambitious for developing the korean buddhism. Therefore the resistant consciousness for japanese law of temple and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influenced by 3.1 movement existed in the foundation of Seonhakwon. Sunwoo benevolent society has the main office in the Seonhakwon and 19 branches all over the country. It was managed by the membership fee of 360 members and donations. But from 1925 Sunwoo benevolent society has gone down because of financial problems. Temporarily Seonhakwon was changed to Kyungsung mission branch of beomeosa and was rebuilt in 1931 by Kim Juk Eum. Then It played a role as a headquaters and made efforts f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guiding a meditation, lecturing buddhist doctrines, publishing bulletins. The monks who rebuilt Seonhakwon concentrated on financial settlement for running it. Consequently Seonhakwon was converted into a foundation called “Chousn Bulgyo Seonrichamguwon.”
By the way, the monks used this foundation as a chance of making a organization of SuJwa for promoting Seon. In march 1935 there was a rally of SuJwa in Seonhakwon. SuJwa stands for a unique name called “ChosunBulgyo SeonJong, establishing a main office as well as making rules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of order. Since then Seonhakwon strived to set up the identity of SeonJong increasing assets and the number of Seonwon.
But Seonhakwon was not liberal under the harsh reig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Inevitably it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oppression. But
Seonhakwon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liberation although japanese government couldn't imagine its existence at all. Therefore Seonhakwon has a important mark in modern buddhist history and also its history is a yardstick of grasping the identity of national buddhism including korean buddhism.
目次Ⅰ. 서언 278
Ⅱ. 선학원의 설립 배경 280
Ⅲ. 선학원의 설립과 선우공제회의 조직 282
Ⅳ. 선학원의 재건, 선리참구원으로 전환 286
Ⅴ. 한국불교의 정체성 인식과 선학원 301
Ⅵ. 결어 307
ISSN1975857X (P); 26715708 (E)
點閱次數59
建檔日期2022.06.11
更新日期2022.06.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220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