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행=Yogācārabhūmi-Śastra; 『요가수뜨라』=Yoga Sūtra; 선정=Dhyāna; 삼매=Samādhi; 멸진정=Samādhi without seeds
摘要
본 논문은 비슷한 시기(A.D. 4세기 경)에 발생한 유가행파(Yogācāra - vāda)와 요가(Yoga)의 선정 삼매를 비교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미륵 찬술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선정 삼매와 『요가수뜨라(Yoga Sūtra)』의 삼매 관련 내용을 상호 수평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상호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본다. 유가행파의 『유가사지론』의 선정 삼매의 체계는 초기불교의 색계 4선정과 무색계 4선정, 멸진정으로 짜여진 구차제정(九次第定)의 틀과 거의 동일하다. 우선『유가사지론』의 4 가지 정려는 초기불교의 사선정과 거의 같은 내용을 보이고있다. 18개의 지분으로 나눈 각 정려의 특징은 심(尋)·사(伺)의 유무 문제로부터시작된 제1정려는 조잡한 전오식을 생기게 하는 심, 분별하는 6식을 생기게 하는하, 그리고 희(喜), 락(樂), 심일경성(心一境性)을 포함한다. 제2정려는 심·사를떠난 심사적정(尋伺跡靜), 제3정려는 희를 떠난 희적정(喜寂靜), 제4정려는 낙(樂)을 떠난 낙적정(樂寂靜)이라고 한다. 이것은 요가의 삼매인 유심유사(有尋有 伺) 무심무사(無尋無伺)와 배대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사무색선과 관련해서 자(慈)·비(悲)·희(喜)·사(捨)의 사무량정을제3정려와 4무색선(四無色禪)에 배대시켜 설명함은 『유가사지론』만의 독특한 해석이다. 제7식 자아의식의 사(捨) 내지 평등심의 성취를 이뤄 타인을 구제코자하는 『유가사지론』만의 독특한 발상이다. 『요가수뜨라』에서도 사무량심에 대한언급을 볼 수 있으나, 이는 경쟁적 관계에 있는 대승불교를 의식한 형식적 서술에지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유가사지론』에서 멸진정의 해석은 아뢰야식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해야 한다. 수(受)·상(想)을 등진 멸진정이 종자를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의문제에서 논의하게 된다. 멸진정은 아뢰야식이 비활성화된 상태, 무의식 속에서깨어있는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요가에서 붓디(buddhi)는 아뢰야식이작용하고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멸진정은 요가의 무종자삼매 내지법운삼매와 유사하다. 요가에서는 최종적인 삼매 이후에 발현되는 지혜의 일종인 법운삼매의 성취는 화엄 십지의 법운지(法雲地)의 면모를 연상케 한다.
This thesis aims to compare the samādhi of Yogācāra - vāda and Yoga System, which occurred in a similar period (Around the 4th century). A comparison on samādhi between Yogācārabhūmi - Śastra(瑜伽師地論) and Yoga Sūtra was reviewed comparing to each other, and look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 samādhi system of Yogācārabhūmi - Śastra is almost identical to the nine stages of early Buddhism. There are four dhyānas(4靜慮), the dhyāna of Four choices : mercy, compassion, joy, equality(4無量定). and Nirodhasamāpatti(滅盡定) There are four samādhi in yoga system. There is a samādhi with object(有想), samādhi without object(無想). samādhi of ecstasy(歡喜), samādhi of self - confidence(自意識), and lastly samādhi without seeds(無種子). The samādhi between Yogācārabhūmi - Śastra and Yoga Sūtra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is thesis.
目次
Ⅰ. 들어가는 말 43 Ⅱ. 유가행파의 선정 삼매 44 1. 사정려의 지분 44 2. 사무색선과 사무량정 49 3. 멸진정과 아뢰야식 51 Ⅲ. 『요가수트라(Yoga - sūtra)』의 삼매 54 1. 네 가지 삼매 54 2. 무종자삼매와 법운삼매 59 Ⅳ. 유가행파와 요가의 삼매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 63 Ⅴ. 나가는 말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