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분황 원효(芬皇元曉)와 경허 성우(鏡虛惺牛)의 구도 정신 -- 원효 일심(一心)과 경허 조심(照心)의 접점과 통로=Bunhwang Wonhyo and Gyeongheo Sungwoo’s spirits in seeking the Dharma Focusing on the contact point and passage between Wonhyo’s One Mind and Gyeongheo’s Illuminating Mind
作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26 n.0
出版日期2019.06
頁次241 - 285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關鍵詞구도와 나눔=Seeking the truth and Sharing the results; 비승비속=非僧非俗=Neither a monk nor a layperson; 역승역속=亦僧亦俗=Both a monk and a layman; 일심지원=一心之源=Origin of One Mind; 조료심원=照了心源=Illuminating and Awakening the Origin of Mind; 요익중생=饒益衆生=Benefitting many sentient beings; 이류중행=異類中行=Living among many sentient beings
摘要이 논문은 신라시대 분황 원효(617~686)와 대한시대 경허 성우(1846~1912)의구도 정신을 일심(一心)과 조심(照心)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출가자의 경계를 넘어 소성(小性)거사와 난주(蘭州)거사로도 살았던 이들 두 사람의 구도와 나눔, 깨침과 깨달음, 일심지원(一心之源)과 조료심원(照了心源), 요익중생(饒益衆生)과 이류중행(異類中行)은 연속되기도 하고 불연속되기도 한다.
원효와 경허는 ‘비승비속’(非僧非俗) 즉 승도 아니도 속도 아니었으며, 혹은‘역승역속’(亦僧 亦俗) 즉 승이기도 하고 속이기도 한 자유인이었다. 이들은 출가승만도 아니고 재가자만도 아니었지만 한편으로는 출가승이기도 하고 재가자이기도 하였다. 이들은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이자 도리를 구하는 구도자로 살았다.
원효와 경허는 공부가 무르익자 출가자로서 자신의 생명과도 같은 ‘계율의 사다리’를 차버리고 ‘구제의 사다리’를 높이 세운 이들이다. 이들은 자기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각기 일심지원(一心之源)과 조료심원(照了心源)을 체득하고 대중교화(大衆敎化)와 이류중행(異類中行)을 실천하였다.
원효와 경허 두 사람이 터득한 일심(一心)과 조심(照心)은 구도 정신과 나눔 정신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것은 요익중생(饒益衆生)과 이류중행(異類中行)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구도 정신은 부처와 중생, 홍법(弘法)과 화생(化生), 청산과 세속, 열반과 생사가 둘이 없는 무이(無二)의 중도세계로 표출되었다. 원효와 경허는 중생을 풍요롭고 이익되게 하려고 했으며 인간을 넘어 모든생명체까지 구제하려고 했다. 이들이 성취한 일심지원과 조료심원은 결국 자아발견과 자아 성찰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그것은 결국 여러 사람들을 구제하려는 모습으로 드러났다.
불교에서의 구도는 나눔을 전제로 하며 구도 과정의 치열함은 나눔 과정의적극성에 상응한다. 원효와 경허의 구도 정신은 일심(一心)과 조심(照心)에서 시작되어 이류중행과 요익중생의 나눔 정신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자기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였고 그 결과 그 성취를 나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들은 출가와재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점에서 활짝 꽃을 피울 수 있었다. 나아가 이들은 이러한 꽃조차 버림으로써 대중 속에서 열매를 맺을 수 있었고, 그 열매를 나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pirits of Bunhwang Wonhyo (617~686), of the Silla dynasty, and Gyeongheo Sungwoo (1846~1912), of the Korean Empire, in seeking Dharma focusing on their One Mind and Illuminating Mind. The ideologies of these two masters are well described as the Origin of One Mind, and Illuminating and Awakening One Mind, or “Giving benefits to many sentient beings,” and “Living among many sentient beings.” These ideas sometimes seem identical, but other times do not.
Both Wonhyo and Gyeongheo led unique lives that were neither those of a monk nor common of lay people. However, it would not be inaccurate to say that they were both monks and laymen at the same time. In essence, they were free people who forged their own lifestyle focused on seeking truth and Dharma.
Since the most important value they cherished was not that of precepts that were important to themselves as monks, but was that of benefitting others, they set the ladder of salvation for others high and put away the ladder of precepts for themselves. They were both winners in the battles they fought with themselves.
and they eventually attained enlightenment. As a result, one of them awakened to the truth of One Mind, while the other awakened to the truth of the Illuminating Mind and practiced Benefiting Others and Living with Others.
The contact point of these two masters’ ideology, One Mind and Illuminating Mind, was made at the place where their spiritual awakening and shared compassion meet. This is manifested in their actions of “Benefitting others” and “Living with others.” Wonhyo and Gyeongheo’s spirits in seeking the truth form the ideology of the Non-dual Middle Way, where Buddha and unawakened beings, deity and incarnate avatar, sacred and secular, and Nirvana and samsara, are not divided. These masters were both dedicated to helping the world to flourish, helping others, and tried to save not only human beings but also all living beings. Their awakenings were the result of discovering their true inner selves. It was these awakenings that led them to the acts of saving and helping others.
In Buddhism, seeking truth is based on the spirit of sharing, and the more intense one’s endeavor in awakening the truth, the more compassionate one’s spirit of sharing the results becomes. In the case of Wonhyo and Gyeongheo, their spirits of truth-seeking and sharing their awakening interconnected beyond the border where the concept of monks and the laity were no longer divided.
This was where their spirits eventually awakened and bloomed. However, as they did not attach themselves to the flowering they attained, they were able to realize the result of the blooming flowers, fruits, and these fruits were the ones they shared with other people.
目次I. 서언 243
II. 구도 정신과 나눔 정신 245
III. 원효의 깨침과 경허의 깨달음 250
IV. 원효의 일심지원(一心之源)과 경허의 조료심원(照了心源) 267
V. 원효의 요익중생(饒益衆生)과 경허의 이류중행(異類中行) 273
VI. 결어 278
ISSN1975857X (P); 26715708 (E)
DOI10.24956/SSC.26.7
點閱次數146
建檔日期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614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