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달마불식(達磨不識) 공안과 한국 선시(禪詩)의 관련성 연구=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 Bulseek(達磨不識) Gong - An(公案) and Korean Seon poetry(韓國禪詩) -- Mainly on the Seon poetry of Manhae Yongun(萬海龍雲) and Seorak Musan(雪嶽霧山)
作者 박종식 (著)=Baag, Jong-shik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28 n.0
出版日期2020.06.30
頁次89 - 132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설악산 백담사 승려,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박사
關鍵詞선문염송=SeonmoonYeomsong=禪門拈頌; 벽암록=Beokamrok=碧巖錄; 달마불식=Dharma Bulseek=達磨不識; 화두=話頭=Dharmic Talking Praxis; 선시=禪詩=Seon poetry; 공안=公案=Gong-An; 만해용운=萬海 龍雲=Manhae Yongun; 설악무산=雪嶽霧山=Seorak Musan
摘要한국의 불교수행 풍토에서 간화선 수행은 선의 종지가 전래된 이후, 중국화된 가풍으로부터 벗어나 독자적 속성을 찾으려고 노력한 흔적이 있다. 특히 근대이후 공안을 매개로 한 한국 문학 작품은 이러한 한국 선관의 특징을 반영하여 한국인의 미의식을 고취하였다. 달마불식의 공안이 문학적 작품으로 승화한 대표적 작품으로는 만해용운의 「알 수 없어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문학평론 위주의 만해 연구는 이러한 측면을 규명하는데 소홀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설악무산의 문학작품들에 대한 접근 역시 문학평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기에 작품의 본령에 속하는 선적 해석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의 기본 취지는 기존의 연구 경향들로부터 벗어나 만해와 설악의 문학작품 저변에 자리한 선관을 검토하기 위하여 '불식' 화두와 관련지어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벽암록'과 '종용록' 서두에 등장하는 '달마불식' 화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여 공안이 문학의 창작 동기로 작동할 수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선어록의 독해 방법인 적기어법을 점검하고, 나아가 한국적 전개양상을 '선문염송'과 연결지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만해와 설악의 문학작품을 통하여 그 성과를 측량할 것이다. 이는 '벽암록'이나 '종용록' 등의 중국 선전과 대조되는 '선문염송'의 찬술과 더불어 본격화된 한국 선수행의 특징을 만해와 설악의 문학성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선시의 영역으로 표출되는 한국선관의 문학적 성과를 새롭게 조명하여 선문화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선관의 문학화로까지 확장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선문염송'에서 독자적 노선이 확립되어 전승된 한국선의 독자성은 만해에 이르러 뚜렷하게 확장되어 현대시의 성격을 지닌 시집 '님의 침묵'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설악은 전통적 선시의 영역을 시조의 형식으로 변형시키며 ‘한글 선시조’라는 독창적 분야를 개척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달마불식의 공안은 만해와 설악을 통하여 재가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해의 '님의 침묵' 이후 만해정신을 계승한 설악은 자신의 작품 창작 모티브가 '선문염송'에 있음을 밝히며 선수행을 생활의 미학으로 개진하고자 하였다. 특히 설악은 '불식'을 시제(詩題) 로 사용하며 선의 수행을 한국의 문화적 전통으로 연결하여 문학적 형상화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ractice of Ganhwa - Seon(看話禪) in Korea Buddhism has been traced since the tradition of Seon was passed, trying to find its own attributes away from the Chinese tradition. In particular,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which have been used as a medium for Gong - An(公案), have inspired Koreans' aesthetics by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on. Manhae Yongwoon'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sublimated by the Dharma Bulseek(達磨不識) as a literary work. However, the study of Manhae focused on literary criticism up to this point has been neglected to identify aspects related to Seon and Gong-An. In addition, studies on literary works of Seorak Musan were also conducted around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there was a lack of interpretation of Seorak Musan's work regarding the practice of Buddhism.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iterary works of Manhae and Seorak in relation to Buddhist practice. To this end, we reviewed Dharma Bulseek Gong - An that appears in Beokamrok(碧巖錄) and Jongyongrok(從容錄).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 where Gong - An can act as a motivation for creating literature.
In addition, we reviewed Jeokgi - Eobeop(賊機語法), which is a method of reading Seon Text. In addition, the Korean development pattern will b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SeonmoonYeomsong, and finally, the results will be measured through literary works of Manhae and Seorak. In addition to the publication of SeonmoonYeomsong, which contrasts with Chinese Text such as Beokamrok and Jongyongrok,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practice in Manhae and Seorak's literary works. Thus, it is to expand the horizon of research on Seon culture to the literary art of Seon-guan(禪觀) by newly illuminat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Korean Buddhism expressed in the realm of Seon poetry(禪詩).
In conclusio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Seon, which was passed do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route in SeonmoonYeomsong, was markedly expanded to Manhae, and the poetry Nim's sile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was presented. In addition, Seorak transformed the domain of traditional poetry into a form of Sijo(時調) and pioneered the original field of Korean Hangeul Sijo.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Dharma Bulseek Gong-An was reworked through Manhae and Seorak. Seorak uses SeonmoonYeomsong as the motive for the creation of his work. Also, it aimed to improve Buddhist practice into aesthetics of life. In particular, Seorak uses Bulseek(不識) as the title of the work and can be regarded as successful in literary imagery by linking Buddhist Seon practice with Korean cultural tradition.

目次Ⅰ. 서론 91
Ⅱ. 달마불식 고찰 93
1. 달마불식 화두의 형성과 전개 96
2. 선어록의 시론(詩論)과 적기어법(賊機語法) 105
Ⅲ. 『선문염송』의 특징과 불식 공안의 문학적 활용 110
1. 만해용운의 불식: 「알 수 없어요」 115
2. 설악무산의 「봄의 불식」과 달마 시 119
Ⅳ. 결론 124
ISSN1975857X (P); 26715708 (E)
DOI10.24956/SSC.28.3
點閱次數56
建檔日期2022.07.25
更新日期2022.07.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615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