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대한불교조계종의 중흥조(中興祖) 인식에 대한 재검토=Reconsideration on the recognition of reviving father in the Buddhist Jogye Order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30 n.0
出版日期2021.06.30
頁次179 - 214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조교수
關鍵詞보우=普愚=Bowu; 나옹=懶翁=Naong; 혼수=Honsu; 찬영=粲英=Chanyeong; 자초=自超=Jacho; 지공=Jigong; 인가=印可=permission
摘要조계종의 「종헌」은 종조를 신라 말의 도의(道義)로 확정하고, 중천조(中闡祖)는 고려중기의 지눌로 삼고 있다. 이외에 중흥조(中興祖)에 해당하는 인물로는 고려 말의 보우(普愚)를 제시한다.
그러나 조선불교는 ‘임제종의 계승’ 및 ‘스승과 제자 간의 상속’을 중시한다.
이런 기준에서 본다면, 도의와 지눌은 조계종의 시원자로는 합당하지 못한 면이 있다. 즉 조계종의 실질적인 종조는 고려 말의 보우인 셈이다. 이는 현대까지도 전해지는 모든 <조파도(祖派圖)>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가 있다.
그런데 조계종의 ‘스승과 제자 간의 상속’ 구조 속에는, 보우 말고도 혼수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보우 → 혼수’의 승계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혼수는 보우의 제자인 동시에 나옹의 제자이기도 하다. 특히 혼수 측의 기록에 따르면, 보우보다는 나옹과의 관계가 보다 두드러진다. 이런 점에서 조계종의 중흥조에 해당하는 인물을 보우로만 한정하는 것은 타당치 않다. 즉 중흥조에 나옹도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옹은 중국 선불교의 계승자인 동시에, 인도승려인 지공(指空)을 통해 인도선불교도 전수받은 인물이다. 이는 조계종이 나옹을 중흥조로 삼게 되면, 중국불교 외에도 인도불교적인 외연을 확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계종은 선불교 중심이기는 하지만, 인도불교 이래의 모든 불교를 포괄하는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이런 점에서 나옹의 중흥조 편입은 높은 시대적 필연성을 확보한다.

Jogyejong's “Religious Constitution” is defining Doeui(道義) in the late Sila Age as its originator and Jinul in the middle Goryeo period as its prospering father.
In addition, it suggests Bowu(普愚) in the late Goryeo as its reviving father.
However, Joseon’s Buddhism emphasizes 'the succession of the Imjejong(臨濟 宗)' and 'the inheritance between master and disciple'. In these standards, Doeui and Jinul are not worthy of being originators of the Jogye Order. In other words, the title of actual originator of Jogye Order should go to Bowu in the late Goryo.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all the “Genealogical Charts(祖派圖)” handed down even to the present.
By the way, in the structure of 'the inheritance between master and disciple' of the Jogye Order, Honsu as well as Bowu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This is because there was a succession structure of ‘Bowu → Honsu’. But Honsu was a disciple not only of Bowu but also of Naong.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records of Honsu himself, he was more intimate to Naong than Bowu. In this regard, it is not reasonable to limit Bowu as the reviving father of the Jogye Order.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add Naong as a reviving father.
Naong was a successor of the Chinese Seon Buddhism and also one who was handed over the Indian Seon Buddhism through Jigong(指空), an Indian monk.
If Jogyejong takes Naong as its reviving father, it means to secure its Buddhist outreach in addition to Chinese Buddhism.
Although Jogye - jong is the center of Seon Buddhism, it is a representative of Korean Buddhism that encompasses all kinds of Buddhism since the Indian Buddhism. In this respect, the inclusion of Naong in the reviving fathers can have a high necessity in this age.

目次Ⅰ. 서론 - 현대 조계종의 중흥조와 혼수(混脩) 181
Ⅱ. 보우·나옹의 사법(嗣法)과 혼수의 법계 183
Ⅲ. 나옹의 법계와 보우로의 변화 196
Ⅳ. 결론 - 「종헌」 중 <종명 및 종지>의 문제점 205
ISSN1975857X (P); 26715708 (E)
DOI10.24956/SSC.30.6
點閱次數54
建檔日期2022.07.31
更新日期2022.07.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636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