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1920년대 김경주의 화엄철학 구상과 그 근대 의의=Kim Gyongju's Idea of the Huayan Philosophy in the 1920s and its Modern Significance
作者 김영진 (著)=Kim, Young-jin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96 n.0
出版日期2021.09
頁次183 - 21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부교수
關鍵詞김경주=Kim Gyeongju; 화엄철학=Huayan philosophy; 근대=Modern; 유심론=Idealism; 오교교판=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ive Teachings=wujiao jiaopan=五敎敎判; 현상즉실재론=ontology of the phenomenal reality theory=現象卽實在論; 성기=arising of the tathāgata’s nature=xingqi=性起
摘要근대 한국 불교계에서 불교를 이해할 때 전통적인 방법론을 계승하기도 했지만 근대적 방법론을 동원하기도 했다. 승려 김경주는 일본 유학시기 「화엄철학의 내용」을 써서 이후 국내 불교 잡지에 발표했다. 그는 유학시절 메이지 불교철학을 학습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엄학의 주요한 이론을 해석했다. 메이지 불교철학은 방법론 면에서 기본적으로 서양철학을 기반으로 했다. 김경주도 서양철학을 보편철학으로 인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화엄사유를 해석한 것이다. 특히 그는 화엄사유를 관념론으로 규정하고 불교 전체를 마음의 철학으로 해설했다. 이 연장선에서 그는 법장이 제시한 오교 교판을 관념론의 발전 단계로 파악했다. 이 과정에서 불교 여러 교설을 서양철학 방법론으로 재정립했다.
김경주는 또한 현상과 실재라는 이원적 도식을 초월해 현상이 곧 실재라는 현상즉실재론을 거론하고 화엄사유가 바로 현상즉실재론임을 천명했다. 이는 사실 메이지 불교철학의 견해인데 김경주는 여기에 적극적으로 찬동한 셈이다. 그는 화엄학의 세계관이기도 한 ‘성기(性起)’ 이론을 동원하여 ‘현상즉실재론’을 이해함으로써 화엄사유에 대한 철학적인 해석이 가능하도록 했다. 김경주의 「화엄철학의 내용」은 전통 불교의 일부였던 화엄사유를 이른바 ‘근대적인 보편철학’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후 불교학의 전개로 보면 화엄사유에 대한 해석 틀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글은 적어도 한국불교학에서 보자면 하나의 신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In modern Korea, Buddhist scholars have used traditional methods to interpret Buddhism, with some also making use of modern methods. Kim Gyeongju studied in Japan, and, at that time, wrote “The Contents of the Huayan Philosophy” (hwa-eomcheolhag-ui naeyong). He interpreted the thought of Huayan using modern methods. Later, he published his article in a Buddhist magazine in Korea. He learned the Buddhist philosophy he used while studying in Japan, which was established by Buddhist scholars during the Meiji period in Japan. Meiji Buddhist philosophy was, basically, based on Western philosophy.
Kim Gyongju also recognized Western philosophy as a universal philosophy and interpreted the thought of Huayan based on this concept. In particular, he defined the Huayan Philosophy as idealism. He also defined Buddhism, as a whole, as a philosophy of the mind. He further regarded the Huayan Philosophy as the perfect form of idealism. In this extension, he identifie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Five Teachings, as proposed by the Fazang (法藏), as the stage of development of idealism, re-establishing the doctrines of various Buddhist denominations using Western philosophical methods.
He also asserts that the philosophy of Huayan is the source of the Phenomenal Reality. This claim is actually the view of the Buddhist philosophers of the Meiji – thus, he actively agreed with their views. In particular, He understood “the ontology of the Phenomenal Reality” using the arising of the tathāgata’s nature (xingqi 性起) theory, which is also the worldview promoted by Huyan philosophy.
In “The Contents of the Huayan Philosophy”, he reinterpreted the thoughts of Huayan, which was a part of traditional thought, as a so-called “modern universal philosophy”.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carries a modern meaning. Furthermore, in view of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Buddhist studies, it can be said that, through this article, he presented a new interpretation framework for the thought of Huaya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is article can be said to signal a new era.
目次Ⅰ. 머리말 185
Ⅱ. 화엄철학의 유심론 규정 186
Ⅲ. 화엄 오교 교판의 관념론 형식 192
Ⅳ. 현상즉실재론과 성기론 197
Ⅴ. 결론 205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1.9.96.183
點閱次數306
建檔日期2022.08.08
更新日期2022.08.0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692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