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新羅成立の諸経論=Every Sūtra and Śāstra Composed in Silla
作者 石井公成 (著)=이시이 코세이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92 n.0
出版日期2020.09
頁次65 - 8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日文=Japanese
附註項著者所属:駒澤大學 仏教學部 教授
關鍵詞『석마하연론』=Shi moheyan lun; 『대종지현문본론』=Dazong dixuan wenben lun; N-gram; 변격한문=plagal grammar; 호신부=protective amulet; 신라=Silla; 위작=僞作=apocrypha
摘要근대 중국불교 부흥의 주역인 거사 양원훼이楊文会(1837-1911)는 마명보살이 짓고, 진제삼장이 번역했다고 하는 『대승기신론』과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을 두 축으로 「마명종」을 건립하고 중국불교를 중흥시키고자 하였다. 양원훼이의 제자인 타이쉬太虚(1889-1947)도 이 양 론에 의하여 전 불교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석마하연론』은 779년에 일본에 전래되었을 때, 진위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일었다. 그러나 진언종의 개조였던 구카이空海(774-835)는 그 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채, 밀교와 현교를 구별하는 중요한 부분에서 『석마하연론』의 주장을 활용하였다. 한편, 천태종天台宗의 안넨安然(841?-915)은 남대사南大寺의 신라 승려 진총珍聡이 신라 중조산中朝山 월충月忠의 위작이라고 말한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석마하연론』에 대해서는 진언종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근대에 들어 위작으로 보는 연구가 진전되었다. 필자는 그것을 더 진척시켜서 원효와 의상의 영향 및 변격어법이 보이는 것을 지적하였고, 이를 통해 신라성립임을 논증하였다. 『석마하연론』과 비슷한 『대종지현문본론』에 대해서는 근대 일본학계에서 위작으로 보는 설이 제출되었다. 이번에 N-gram분석을 활용하여 검토한 결과, 『석마하연론』과 어법․용어가 매우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변격한문의 어법이 보인다는 점도 일치한다. 따라서 『대종지현문본론』도 신라에서 성립되었다고 생각된다. 내용으로부터 볼 때 아마도 『대종지현문본론』은『석마하연론』을 저술한 인물과 동일한 저자이거나 그와 아주 가까운 입장을 가진 인물이 저술한 문헌일 것이다.
『석마하연론』의 다라니에 보이는 기묘한 글자에 대해서는 가장 비슷한 것이 측천문자와 도교의 호신부에 보이는 글자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당대에 유행하고, 묘진문(墓鎮文)으로 활용된 『오련경(五錬経)』의 부적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대종지현문본론』에서도 밀교의 요소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역경론 혹은 중국 승려의 찬술로 전해지는 불교문헌에는 당의 최신 유행을 수용하여 신라에서 성립된 것도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 금후 그러한 문헌에 대해서 폭넓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A lay Buddhist Yang Wenhui 楊文会 (1837-1911), who led the revival of modern Chinese Buddhism, attempted its restoration by establishing the Maming School 馬鳴宗 centered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大乗起信論 and the Dazong dixuan wenben lun 大宗地玄文本論, attributed to Maming 馬鳴 and translated by Zhendi 真諦. A monk, Tai xu 太虚 (1889-1947), who was a disciple of Yang Wenhui, also tried to unify Chinese Buddhism through these two texts.
There was considerable dispute over the truth of the authorship when the Shi moheyan lun 釋摩訶衍論 was introduced to Japan in 779. However, Kukai 空海 (774-835), the founder of Japanese Shingon shu 眞言宗, used the doctrine of the Shi moheyan lun in the important parts to discriminate the esoteric teaching from the exoteric without mentioning the problem of authorship. Whereas Annen 安然 (841?-915), a monk of Japanese Tendai shu 天台宗, recorded the oral tradition that the Shi moheyan lun was the apocrypha by Silla Monk Wolchung 月忠 of Mt. Jungjosan 中朝山 from the Silla monk Jinchong 珍聡 of the Nandaiji Temple 南大寺.
I progressed modern research to the Shi moheyan lun and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it was composed in Silla by finding out the use of the plagal grammar and the influence of Silla monks Wonhyo 元曉 and Uisang 義湘 in this text. In addition, I utilized the N-gram program to analyze the Dazong dixuan wenben lun, which was called a forgery such as the Shi moheyan lun. I thus found several points of similarity between the Shi moheyan lun and the Dazong dixuan wenben lun in parlance, terminology, and use of plagal grammar. Based on these grounds, I propose the assumption that the Dazong dixuan wenben lun also has been formed in Silla and written by the same author or by a person who had a very similar stance to the Shi moheyan lun.
In this way, the Chinese translation of Sūtras and Śāstras or the Buddhist literature reported as the writing of Chinese monks included considerable texts composed in Silla, which reflected the latest trend in Tang China. It is necessary to study a wide range of these kinds of literature hereafter.
目次Ⅰ. はじめに 67
Ⅱ. 『釈摩訶衍論』と『大宗地玄文本論』 67
Ⅲ. 『釈摩訶衍論』に関連する経論と注釈 74
Ⅳ. 『釈摩訶衍論』と密教 ․ 道教 79
Ⅴ. おわりに 82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9.92.65
點閱次數62
建檔日期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744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