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의상계 화엄학의 육상설(六相說) -- 『법기』․『진기』․『대기』를 중심으로=The Theory of Six Aspects (六相) of All Phenomena in the Uisang School of Hua-yen Thought -- Focusing on Beopgi, Jingi, and Daegi
作者 황서광 (著)=Hwang, Seo-kwang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90 n.0
出版日期2020.03
頁次33 - 56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주) 에프씨네스트 상임고문
關鍵詞육상=six aspects; 방편=upāya; 법체; 근기; 연기=dependent arising; 관법; 노사나신; dhārma's entity; understanding faculty; meditation; Vairocana
摘要육상은 『법계도』에서 인과중도의 논리적 근거로 제시된 이래 의상계 화엄학에서 중시된 교학이다. 도인의 인상(印像) 해석에서 비롯된 의상계 화엄학의 육상설은 중국 화엄학에서 볼 수 없는 독창적 면모를 보이면서 체계화되었다. 육상의 본질에 관한 논의, 관법과 근기론, 동상의 세분화 등은 의상계 고유의 교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육상의 본질에 대하여 『법기』는 별교일승에 준하는 불공방편과 불공법체로 규정한데 비하여 『대기』는 동교와 별교에서의 차별을 두어 각각 교문입법방편과 선교집성방편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법기』는 육상을 일승지관과 삼관의 독특한 관법으로 해석하였고 『대기』는 집착의 병을 다스리는 단혹론으로 해석하였다.
도인의 해석에서 『법기』는 총상과 별상을 각각 무측일, 무측일의 무진으로 주석하였다. 또한 동상에 대하여 교판 개념인 수분(隨分)과 원만(圓滿)을 원용한 분동과 만동의 교학을 제시하고 이상에 대하여 수증(數增)과 위증(位增)의 논의가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진기』는 『탐현기』 「십지품」의 본말무애에 논거를 두고 노사나신과 중생신의 관계로 육상을 해석하였다. 『대기』는 지엄의 십중총별과 이를 계승한 신림의 오중총별에 근거하여 총상과 별상을 각기 이별지총(離別之總)과 대별지총(帶別之總)으로 해석하고 ‘인에 의지함[依印]’과 ‘인을 만족시킴[滿印]’을 각각 법계연기론의 중문과 즉문에 연계시켜 해석하였다.
『대기』의 육상 별석은 일승법의(一乘法義)에 입각한 근기론과 연기론이다. 근기론에서는 육상을 무진․무애․무측으로 해석하고 총․별은 상근기가, 동․이는 중근기가, 성․괴는 하근기가 득입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연기론에서는 이․괴를 위(位)부동의 중문, 체(體)부동의 즉문과 연계시켜 해석하였다.
육상의 유설에서 『법기』는 「입법계품」의 문수와 선재를 원용하여 총상과 별상을 비유하였고 인일언(印一言)과 힐인명(詰印名)으로 성상과 괴상을 비유하였다. 인일언의 비유는 『십구장』 제2구 ‘수문취의유오중과(隨文取義有五種過) 가운데 의상의 일명구허(一名口許)에서 비롯되었다. 『진기』는 총상과 별상을 노사나신과 중생신으로 비유하여 중생즉불의 신심을 표출하였다. 『대기』는 집의 비유를 통하여 동상을 상동․하동, 분동․만동, 내향동․외향동으로 다양하게 세분하였다.

The six aspects theory in the Uisang School, which originat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Seal-diagram (圖印), is organized in a unique way, showing an original appearance not seen in Chinese Hua-yen thought. It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nature of the six aspects, interpretation of Seal-diagram, separate interpretation in Daegi, and parables of the six aspects.
First, the six aspects are defined as the upāya and dhārma's entity of one vehicle in Beopgi, while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upāya of special teaching and identical teaching in Daegi.
Second, the whole (總相) and parts (別相) are annotated with one with no side (無側一) and no end (無盡) of it, respectively, in Beopgi. The imperfect (分) and perfect (滿) as well as increase in the number (數) and position (位) in the sameness (同相) are presented in Beopgi. In Jingi six aspects theory is based on the non-obstruction of root and branch (本末無礙). The whole is annotated as a whole without parts (離別之總) and a whole with parts (帶別之總), as well as the dependence on Seal (依印) and satisfaction of Seal (滿印) are linked with mutual containment (中門) and identity (卽門) of dependent origination in dhārma dhātu, respectively, in Daegi.
Third, the six aspects are annotated with no end (無盡), non-obstruction, and no side of one vehicle dhārma in Daegi. A man of higher ability (上根機) attains enlightenment in both the whole and parts of the six aspects; a man of middle ability (中根機), in the sameness and difference (異相); and a man of lower ability (下根機), in the formation (成相) and disintegration (壞相). The formation and disintegration are linked with the mutual containment of position immobility (不動) and mutual identity of entity immobility.
Finally, in Beopgi, the six aspects are compared to Manjushri and Sudhana, a word of the seal (印一言) and asking after the name of the seal (詰印名), while in Jingi they are compared to Vairocana and sattva. In Daegi sameness is variously subdivided through the parable of a house.
目次Ⅰ. 머리말 35
Ⅱ. 육상에 대한 기본 인식 37
Ⅲ. 도인(圖印)의 해석 42
Ⅳ. 육상 별석 46
Ⅴ. 육상의 유설(喩說) 48
Ⅵ. 맺음말 50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3.90.33
點閱次數23
建檔日期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747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