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정암사사적(淨巖寺事蹟)』에 등장하는 정암사 창건 기록 검토II -- 서해용왕설(西海龍王說)과 수마노탑(水瑪瑙塔)을 중심으로=Jungamsa(淨巖寺) Appearing in the 『Jungamsa Records(淨巖寺事蹟)』 II -- Focusing on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西海龍王說) and Sumano-Stupa(水瑪瑙塔)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83 n.0
出版日期2018.06
頁次109 - 132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석남원=Seoknamwon; 살나=薩那=Salla; 문수=Mañjuśrī; 갈반지=Galbanji; 삼탑=三塔=Three Stupa; 서해용궁=Dragon Palace in the West Sea; 자장=Jajang
摘要정암사는 통도사 및 오대산 중대와 더불어 불사리를 모신 대표적인 사찰이다. 그럼에도 정암사와 관련된 1차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일연(一然)과 민지(閔漬)의 자장관련 내용 속에는 이와 관련된 부분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조선후기인 1778년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성우(性愚)가 편찬한 『정암사사적』은 정암사의 특징과 문제의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는 『정암사사적』에서만 확인되는 ‘서해용왕설’과 ‘수마노탑’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 이와 같은 주장이 수록되는 이유에 관해 밝혀본 것이다.
먼저 서해용왕설과 관련해서는, 이것이 중국오대산의 태화지(太和池) 용(龍)을 개변한 정암사적인 특수성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또 정암사 측에서 이와 같은 개변을 시도하는 이유가, 신앙의 중심이 되는 수마노탑의 신성함을 서해용왕과 관련해서 확보하려는 의도 때문이라는 것을 변증했다. 즉 수마노탑의 위상강화 과정에서, 태화지 용이 서해용왕으로 개변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마노탑과 관련해서는, 수마노탑이 위치하는 장소가 자장이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서 태백산에서 찾은 갈반지임을 명확히 했다. 또 이와 함께 정암사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갈반지의 아래쪽이라는 것을, 정암사의 옛 이름인 ‘석남원(石南院)’과 ‘[하]살나([下]薩那)’라는 명칭을 통해서 판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갈반지와 수마노탑, 그리고 정암사의 위치와 관계가 보다 명료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접근을 통해, 자료가 부족한 정암사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판단된다.


Along with Tongdosa and Odaesan(Mt. Odae) Jungdae, Jungam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enshrining Buddha’s ashes. However, Il-yeon and Min Ji’s descriptions of Jajang, commonly referred to as the primary records of Jungamsa, do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is fact. In this light, the 󰡔Jungamsa Records󰡕 written by Seongwoo in 1778 serve a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of the temple.
This study reviewed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and the parts on “Sumano-Stupa” that appear only in the 『Jungamsa Records』. The study discussed the rationale behind the records of these claims.
With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this study clarified that a particularity of Jungamsa converted the dragon in Taehwaji(太和池) in Mt. Wutai, China. This study proved that the temple attempted this conversion to establish the sacredness of Sumano-Stupa as the center of religious faith in association with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other words, the dragon in Taehwaji was converted into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status of Sumano-Stupa.
Next, in regard to Sumano-Stupa, this study established that the location of Sumano-Stupa was Galbanji(葛蟠地), a site Jajang discovered in Mt. Taebak to witness Mañjuśrī. This study also associated the location of Jungamsa under Galbanji with the old names of the temple: Seoknamwon(石南院) and (Lower[下]) Salla(薩那). As a result, the locations of,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Galbanji, Sumano-Stupa, and Jungamsa, are clearer.
Through the research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establishing a clearer position of Jungamsa, a historical temple with limited records.
目次I. 서론 - 『정암사사적』의 구조와 내용 111
II. 서해용왕의 등장과 역할 114
1. 서해용왕의 태화지 용 대체 114
2. 서해용왕과 마노전(瑪瑙塼)의 관계 116
3. 서해용왕을 통한 수마노탑의 강조 119
III. 수마노탑의 신성함과 삼탑(三塔)의 의미 121
1. 수마노탑의 입지(立地)와 갈반지(葛蟠地) 121
2. 마노라는 질료적인 상징성과 삼탑 125
IV. 결론 127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8.06.83.109
點閱次數72
建檔日期2022.08.23
更新日期2022.08.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19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