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빔라오 람지 암베드까르(B.R. Ambedkar)의 불교관 고찰 -- 『붓다와 그의 가르침(The Buddha and His Dhamma)』을 중심으로=A Study on B.R. Ambedkar"s View of Buddhism : Based on The Buddha and His Dhamma
作者 박경준 (著)=Park, Kyoung-joon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8 n.0
出版日期2017.03
頁次199 - 22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암베드까르; 불가촉천민; 『붓다와 그의 가르침』; 지배이데올로기; 신승=Navayana; 참여불교; 암베드까르주의; The Buddha and His Dhamma; Indian Untouchables; Neo-Buddhists; Four Noble Truths; Buddhist transmigration doctrine; Navayāna; Engaged Buddhism
摘要빔라오 람지 암베드까르(Bhimrao Ramji Ambedkar, 1891 ~1956)는 현대 인도 헌법의 기초를 다지고 불가촉천민의 권익 향상 등을 위해 크게 기여하였다. 그런 공로로 그는 그의 서거일이 인도 공휴일로 지적되어 있을 정도로 신불교도들은 물론 인도 국민의 존경을 받는 인물이다.
암베드까르는 인도 사회에 불교를 홍포하고 불교의 새로운 방향 정립을 위해 불교입문서 『붓다와 그의 가르침(The Buddha and His Dhamma)』을 집필했다. 이 책은 그의 서거 다음 해인 1957년에 출간되었다. 그의 불교관은 이 책 속에 잘 나타나 있다.
『붓다와 그의 가르침』에 의하면, 그는 불교의 근본교리인 사성제를 붓다의 직설(直說)로 보지 않고 훗날 제자들이 삽입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암베드까르는 사성제가 염세주의적 진리일 뿐만 아니라 불가촉천민들의 고통을 개인의 탓으로 전가시킴으로써 사회의 불의(不義)와 구조적 모순을 은폐시키는 잘못된 교리체계라고 비판한다. 또한 그는 불교의 윤회사상은 불교의 무아사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불교 고유의 교리가 아니고 힌두교의 교리가 불교에 이식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윤회사상은 사회적 모순과 카스트 제도로 고통받는 하층민들로 하여금 현실에 안주케 하는 지배층의 지배이데올로기일 뿐이라고 배척한다.
나아가 암베드까르는 불교 교단[승가]은 세상을 외면하고 개인적인 완성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승려들의 집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승가는 불법을 홍포하고 사회에 봉사하는 집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암베드까르는 인도의 불가촉천민들을 불교로 개종시킴으로써 그들을 카스트의 굴레에서 해방시키고, 동시에 불교중흥의 초석을 마련하여 보살로 추앙받고 있다. 그의 불교는 신승(Navayāna)이라 불리는 실천지향의 불교로서 붓다의 가르침을 과학적 · 사회적으로 접근하고 실천적으로 재해석하여 현대불교의 큰 흐름인 참여불교(Engaged Buddhism)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암베드까르의 불교는 지나친 자의적 해석, 원전의 왜곡, 사성제 및 윤회의 부정, 종교적 구원론 결여 등의 문제로 진정한 불교가 아니라 암베드까르주의(Ambedkarism), 암베드까르승(Ambedkar-yāna)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암베드까르 불교는 불가촉천민들을 위한 불교에서 모든 인도인과 인류를 포용하는 진정한 신대승불교로 나아가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Bhimrao Ramji Ambedkar(1891~1956) has won the respect of many Indians as well as neo-Buddhists for strengthening the basics of the Modern Indian Constitution and contributing t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Indian untouchables. His reputation is very high in India to the extent that his death day is now a designated holiday. Ambedkar wrote The Buddha and His Dhamma, an introductory textbook of Buddhism as well as a Buddhist sacred writing, for the purpose of widely disseminating Buddhism in Indian society and suggesting a direction of identity and direction of Buddhism for neo-Buddhists. This book was published in 1957 the year of following his death.
Ambedkar’s view of Buddhism has mainly been well exposed through his posthumous work, The Buddha and His Dhamma. According to this book, he understood that the Buddhist essential doctrine of the Four Noble Truths was not the direct speech of Buddha but an addition by somebody else. Ambedkar criticized the Four Noble Truths for not only comprising pessimistic doctrine but also a wrong system of doctrine that covered up the social injustice and structural imbalance that was blaming individuals for their sufferings. He also asserted that Buddhist transmigration doctrine ran counter to the Buddhist ‘no self-nature’[無我] doctrine, which was not in fact an intrinsic doctrine of Buddhism, but was transferred into Buddhism from Hinduism. He dissented with Buddhist transmigration doctrine, because it comprised the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and played a role of settling for the present the lower class, troubled with social imbalance and the caste system. Furthermore, Ambedkar contended that the Buddhist religious community[Saṇgha] should not become a selfish Buddhist monk group that might disregard worldly sentient beings and only pursue individual religious accomplishment. The Buddhist religious community should sow the seeds of Buddhist dharma and serve society.
Ambedkar converted Indian untouchables to Buddhism, and in so doing, he
emancipated them from caste restraints and laid the foundation stone of Buddhism restoration.
As a new mahayana named Navayāna, his Buddhism exercised great influence on the diffusion of Asian engaged Buddhism.
However if we review The Buddha and His Dhamma, he excessively emphasized social practice actions and paid no attention to the individual practice of enlightenment. He was overly self-conscious about untouchables, and as a result, he excessively and arbitrarily interpreted or distorted Buddhist traditional doctrine more than a little.
The Buddhism of Ambedkar should be reincarnated as a Buddhism for all Indian including the upper class, because at present it is a Buddhism only for untouchables.


目次한글요약 200
Ⅰ. 머리말 202
Ⅱ. 『붓다와 그의 가르침』의 출간과 구성 203
Ⅲ. 암베드까르의 불교관 검토 207
Ⅳ. 암베드까르 불교관의 특징과 문제점 218
Ⅴ. 맺음말 222
참고문헌 224
Abstracts 226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7.03.78.199
點閱次數55
建檔日期2022.09.10
更新日期2022.09.1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58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