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 근대 장타이옌(章太炎)의 쇼펜하우어 철학 수용과 열반론=Zhang Taiyan’s Acceptance of Schopenhauer’s Philosophy and the Idea of Nirvana in Modern China
作者 김영진 =Kim, Young-jin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8 n.0
出版日期2017.03
頁次229 - 254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부 조교수
關鍵詞근대 불교=modern Buddhism; 장타이옌=章太炎=Zhang Taiyan; 서양 철학=Western philosophy; 쇼펜하우어=Schopenhauer; 의지=Will; 무명=Ignorance=Avidyā; 보살일천제=bodhisattva-icchantika
摘要중국 근대 불교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양 철학을 수용하고 그것을 활용했다. 당시 수용된 서양 철학 가운데 쇼펜하우어 철학도 대단히 중시됐다. 쇼펜하우어 철학을 불교적인 맥락에서 활용한 대표적인 인물은 장타이옌(章太炎)이다. 그는 쇼펜하우어 철학은 맹목적 의지가 고통을 초래하며, 그 의지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동고(同苦, Mitleid)을 말하고, 이를 통해 의지의 소멸, 즉 무의 세계로 진입한다고 파악했다. 그는 이런 구도를 무명에 따른 고통의 출현과 무명의 극복에 따른 열반 획득이라는 불교적 구도로 이해했다. 특히 그는 쇼펜하우어 철학의 맹목적 의지(Wille)를 불교의 무명으로 이해하면서 초기불교의 무명 개념뿐만 아니라 『대승기신론』과 같은 대승불교의 무명(無明) 개념을 함께 동원했다. 또한 쇼펜하우어와 달리 맹목적 의지를 극복한 하나의 인격을 제시하는데, 바로 보살일천제(菩薩一闡提)이다. 이 인격이야말로 장타이옌이 말하는 자비의 주체이자 무의 주체라고 할 수 있다.


Western philosophy was accepted and utilized in various manners in early modern China. One Western philosopher who played an extremely important role was Schopenhauer and the representative figure who utilized Schopenhauer’s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Buddhism was Zhang Taiyan. The way in which Zhang Taiyan understood Schopenhauer’s philosophy is as follows: Blind will (Wille) is what causes suffering in human life, and compassion (Miltleid) is the method by which human beings overcome such will, which, in turn, annihilates that will so that it ultimately enters the world of non-being. Based on his knowledge of Buddhism, Zhang interprets this logical structure as being analogous to the emergence of human suffering due to ignorance and the subsequent attainment of nirvana by way of overcoming the ignorance in Buddhism. When he interpreted Schopenhauer’s notion of will as ignorance, he not only drew from the notion of ignorance in the early Buddhism, but also from the idea of Avidyā in the Mahayana Buddhism that appears in texts such as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Unlike Schopenhauer, however, he presents the personified form that appears as a result of overcoming ignorance, and that is the bodhisattva-icchantika. This personified form is the agent of compassion and non-being that Zhang discusses in his philosophy.
目次한글요약 230
Ⅰ. 머리말 231
Ⅱ. 쇼펜하우어 철학의 도래와 왕궈웨이(王國維) 232
Ⅲ. 장타이옌(章太炎)의 쇼펜하우어 철학 수용과 근본 무명 236
Ⅳ. 쇼펜하우어의 의지 부정과 장타이옌의 열반론 241
Ⅴ. 맺음말 249
참고문헌 251
Abstracts 253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7.03.78.229
點閱次數34
建檔日期2022.09.10
更新日期2022.09.1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58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