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오대산의 태화지(太和池) 용에 대한 국내기록 검토=A Korean documents Review on Dragon of Taehwaji(太和池) in Chinese Odaesan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4 n.0
出版日期2016.03
頁次217 - 243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일연=Ilyeon; 민지=Minji; 황룡사=Hwangyongsa; 황룡사구층목탑=Hwangyongsa 9-story wooden tower; 용 신앙=dragon faith; 문수보살=Mañjuśri bodhi-sattva; 범왕=Brahmā
摘要자장은 신라 상대에서 중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등장하여, 신라불교의 기틀을 확립한 인물이다. 자장과 관련된 자료는 크게 도선의 『속고승전』 「자장전」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기록군과 일연과 민지의 기록에 입각한 국내 기록군으로 대별된다. 중국기록과 국내기록의 가장 큰 차이는 자장의 중국오대산행과 문수친견에 부분이다. 본고는 이 부분의 사실판단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다만 중국오대산 문수친견과 관련해서 등장하는, 태화지 용에 대한 내용의 상징적인 의미에 대한 검토를 해 보고자하는 것이다.
태화지 용에 대한 부분은, 자장관련 기록에서 가장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상징적인 해석의 필요가 요청된다.
태화지 용은 크게 자장에게 문수화신의 정체를 고지해주는 것과,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제안자라는 두 가지로 등장한다. 대승의 최고 보살인 문수를 태화지 용이 간파해 낸다는 것은 불교적으로 문제가 있다. 또 현재는 <황룡사찰주본기>의 발견으로, 황룡사 구층목탑의 제안자는 원향선사라는 점이 명확해진 상태이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태화지 용은 모종의 필요에 의해서 윤색된 기록인 것이다.
본고는 자장과 관련된 국내기록에서 살펴지는 태화지 용에 대한 부분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태화지 용이 요청될 수밖에 없는 측면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아울러,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인근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의 용 신앙이, 어떻게 태화지용과 관련되면서 불교적으로 수용되는지에 대해서도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Jajang appeared in the transient era from Early Sila to Middle Sila, founding the basis of Sila Buddhism. The materials about Jajang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Chinese documents centering on Doseon(道宣)'s 「Jajangjeon(慈藏傳)」 in 󰡔Sog Goseungjeon(續 高僧傳)󰡕 and Korean documents written by Ilyeon(一然) and Minji(閔漬).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documents is the part about Jajang's trip to Chinese Odaesan and personal meeting with Mañjuśr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y is fact or not, but to review the symbolic meaning of Taehwaji Dragon which is told in relation to his meeting with Mañjuśri in Chinese Odaesan.
The story of Taehwaji Dragon is the most strange and esoteric part in the Jajang-related records. Therefore, it requires the symbolic interpretation.
Taehwaji Dragon appears as the mediator to reveal the identity of incarnated Mañjuśri to Jajang and as the proposer to construct the Hwangyongsa 9-story wooden tower. It is problematic in view point of Buddhism for Taehwaji Dragon to notice Mañjuśri the highest bodhi-sattva of Mahayana. And now, with the discovery of , it became clear that the proposer of Hwangyongsa 9-story wooden tower was Wonhyang Seonsa(圓香禪師). In this respect, Taehwaji Dragon must be a story embellished due to some necessity.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story of Taehwaji Dragon in Korean records about Jajang, to find out why the Taehwaji Dragon was necessary in the records. Along with that, it shows that there was a dragon faith around Gyeongju of Sila, reviewing how it came to be related with Taehwaji Dragon and accepted into Buddhism.
目次〈한글요약〉218
Ⅰ. 서론 219
Ⅱ. 오대산의 용 등장과 용의 특징 220
Ⅲ. 일연의 태화지 용에 대한 내용과 분석 224
Ⅳ. 민지의 태화지 용에 대한 내용과 분석 231
Ⅴ. 결론 - 신라 용 신앙의 불교적인 완성 236
〈참고문헌〉238
〈Abstracts〉242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6.03.74.217
點閱次數38
建檔日期2022.09.11
更新日期2022.09.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66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