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Ⅰ) --『유가사지론』의 경우=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and Sautrāntika : In the Case of Yogācārabhūmiśāstra
作者 권오민 (著)=Kwon, Oh-min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0 n.0
出版日期2015.04
頁次9 - 4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알라야식=Ālayavijñāna; 알라야식의 존재증명=Proofs on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유가사지론』=Yogācārabhūmiśāstra; 경량부 종자설=Sautrāntika's theory of seeds(bīja); 일심; 上座 슈리라타=Sthavira Srīlāta
摘要알라야식(?layavijn?na, 阿賴耶識)은 유가행파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은 개념이다. 그것은 諸法의 원인적 상태인 종자 · 훈습의 토대/住處로서 현행의 6識과는 별도의 실체였다. 해서 그것은 마음을 다만 소의(眼 내지 意根)의 차별에 따라 6識으로 이해한 당시 불교도에게 수용되기 어려운 개념이었다. 특히 알라야식과 동일개념이라 할 수 있는 一心(ekacitta) 즉 동일種類의 마음(一類心, *ekaj?t?yacitta)을 6識의 한 양태(識類: 識의 동일種類)로 이해한 경량부(上座 슈리라타 일파)의 비판이 가장 강력하였다. 그들에게 있어 알라야식은 무용한 개념이었다.
이에 따라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초기 유가행파의 당면의 과제가 되었다. 최초의 논증은 『유가사지론』 「순결택분」에서 8證으로 제시되었는데, 여기에는 경량부 비판에 대한 해명(제2증)이나 반박(제3증)도 포함되어 있으며, 직접적인 논증의 경우에도 경량부의 6識 종자설 비판이 주요 논거였다. 차별적이고도 단속적인 6識에는 무부무기성의 동일種類의 마음을 설정할 수 없고, 따라서 이것이 執受의 주체도(제1증), 生死位(제2, 제8증)나 無心定의 마음도(제7증), 종자식도 될 수 없을(제4증) 뿐더러 소의(根)에 따른 단일한 마음의 차별인 6識만을 주장하는 한 二識俱起도 불가능하다(제3, 제5증)는 것이다.
유가행파의 알라야식 존재증명은 경량부의 6識 종자설 비판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양 학파는 종자설을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친연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지만, 유가행파에서 알라야식을 별도의 실체로 설정함으로써 적대적 관계가 되었다. 도리어 유가행파는 경량부 종자설의 비판이라는 점에서 설일체유부와 步調를 함께 하였다.

Ālayavijñāna is a characteristic concept of the Yogācāra School. It represented a foundation or abode of seeds(bīja), a causal state of existence, and a separate entity that was different from six kinds of current consciousness(ṣad-pravṛttivijñāna). This made it difficult for Buddhists at the time to accept this concept, because they only understood mind as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relating to six organs. In particular, Sautrāntika(a sect of Sthavira Srīlāta) was most critical of this concept, as they understood ekacitta(一心), a similar concept to Ālayavijñāna, referring to a generic property of mind(一類心, *ekajātīyacitta), as being one of the six existing kinds of consciousness. For them, ālayavijñāna was a useless concept.
Because of these criticisms, the early Yogācāra School had to prove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The first proof was presented in eight forms in Yogācārabhūmiśāstra Viniścaya saṃgrahaṇi. This included an explanation(second form), and a refutation(third form) of the Sautrāntikasect's criticism. Other forms of proof for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included the fact that the current consciousness cannot be the agent of integration and sustainment of organs(upādāna)(first form), the state of mind at that time of birth and death(second and eighth forms), the state of mind of a thoughtless meditation(nirodhasamāpatti)(seventh form), the possession of seeds by the consciousness (bījakaṃ vijñānaṃ)(fourth form), and the fact that two consciousnesses cannot exist simultaneously (third and fifth forms). This is because a generic property of mind cannot be set to discriminative, and intermittent current consciousness.
The Yogācāra School's proofs for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were subject to the criticism of the Sautrāntika sect's theory of seeds(bīja),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The two schools agreed in their claims relating to the theory of seeds. However, when the Yogācāra School presented the ālayavijñāna as a separate entity, they became hostile. On the contrary, Yogācāra had the same arguments as Sarvāstivāda in terms of criticizing Sautrāntika's theory of seeds.
目次〈한글요약〉10
Ⅰ. 서언 11
Ⅱ. 알라야식의 존재증명과 경량부 15
Ⅲ. 결어 33
〈참고문헌〉36
〈Abstracts〉39
ISSN12261386 (P)
點閱次數326
建檔日期2022.09.13
更新日期2022.09.1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76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