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계종단 律院의 역사와 성격=The History and Identity of Vinaya Seminary in the Jogye Monastic Order
作者 김광식 (著)=Kim, Gwang-sik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0 n.0
出版日期2015.04
頁次203 - 22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關鍵詞율원=Vinaya seminary; 율사=Precepts master; 총림; 율장=Vinaya Pitaka; 삼학수행=Practice of the three supreme principles; 자운=Geawun; 조계종=Jogye monastic order; Comprehensive monastic complex
摘要본 고찰은 조계종단 율원의 역사와 성격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살핀 연구이다. 율원은 계율 특히 律藏을 배우고 연구하는 교육 기관이다.
계율은 불교 수행의 근간인 계 · 정 · 혜 三學의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인정된다. 때문에 계율에 대한 습득, 이해, 연구를 기하는 율원은 조계종단의 차원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대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율원과 관련된 제반 내용(역사, 제도, 변천, 율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심화되지 않았다.
본 고찰은 위와 같은 배경에서 서술되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율원의 전체적인 개요를 정리하려고 한다. 요컨대 근현대 불교사에서의 율원을 6하원칙의 관점에서 개괄적 정리를 시도했다. 이런 이해를 통해 추후에는 율원에 대한 진일보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면서 백용성의 전법제자이면서 율사인 자운이 표방한 천화율원의 대두 배경도 찾고자 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첫째, 일제하의 模範叢林 검토를 통한 율원의 모색(청담과 성철), 둘째, 해방공간의 봉암사와 통도사에서 단행된 자운의 천화율원 표방, 셋째, 1962년 통합종단 출범이라는 새로운 체제하에서 총림 사찰(해인사, 송광사)이 등장하면서 나온 율원의 성립, 넷째, 1994년 종단개혁 체제하에서의 율원의 변화, 다섯째, 율원의 과제와 지향 등으로 대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고찰이 조계종단 율원의 역사, 개별 율원의 이해, 율사 연구, 율원에서 수학하는 승려들의 지성 등을 연구함에 있어서 일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Vinaya seminary in the Jogye monastic order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Vinaya seminary i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that learns and studies Sila and Vinaya, especially Vinaya Pitaka. Sila and Vinaya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practice of the precepts, meditation, and wisdom—the three supreme principles, which are the basis of Buddhist practice. Therefore, the Vinaya seminary, which focuses o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tudying Sila and Vinaya, cannot be ignored when we explore the position of the Jogye monastic order.
Nevertheless, to dat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lating to Vinaya seminary as a whole (including its history, system, transition, and educational courses).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an attempt to fill this gap, and explore the overall background of Vinaya seminary.
I have attempted to introduce Vinaya seminary in modern Buddhist history in terms of when, where, what, why, and how.
In this view, I attempt to review, first, the background to the foundation of Vinaya seminary, by examining the exemplary comprehensive monastic compound under the Japanese Empire(Cheongdam and Seongcheol), second, establishment of the land for the Vinaya seminary by Jaun, which was proclaimed in Bongamsa and Tongdosa to be a liberal space, third, the establishment of Vinaya seminary, which was originally part of the comprehensive and combined monastic temple complexes, fourth, the changes in Vinaya seminary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order in 1994, fifth, the aims of Vinaya seminary, and so on.
I hope that this dissertation is helpful for future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naya seminary in the Jogye monastic order, inclu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Vinaya seminary, the way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and the intelligence and background of monks who there, and so on.
目次〈한글요약〉204
1. 서언 205
2. 일제하의 靈山圖, 模範叢林 구상 206
3. 해방공간과 6 · 25전쟁기(1945-1954) 율원의 모색, 천화율원 210
4. 통합종단(1962-1994) 성립 이후의 율장, 율원 214
5. 율원의 변화(1994- ) ; 의무과정에서 연구과정으로 217
6. 율원의 성격 220
7. 결어 222
〈참고문헌〉224
〈Abstract〉226
ISSN12261386 (P)
點閱次數79
建檔日期2022.09.13
更新日期2022.09.1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77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