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자기-자비(self-compassion)에서 본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알아차림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치유기제=Self-compassion as Healing Mechanism of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作者 안양규 =An, Yang-gy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69 n.0
出版日期2014.09
頁次147 - 168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자기-자비=self-compassion; 알아차림 명상; 우울=depression; 자비=compassion; 자기-비하=self-criticism; 반추; 수용; 사무량심;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mindfulness; rumination; loving-kindness
摘要본고에선 MBCT에서 알아차림의 어떠한 기능이 우울증 재발 방지라는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일까를 불교의 자비 사상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우울증 환자는 자기 자신을 매우 부정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본다. 자기 존중감이 결여되어 있고,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 자리를 잡고 있다. 자기 자신에게 관대하지 못하고 비판적인 자기-비하가 우울의 중심에 놓여 있다. 우리는 여기서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의 치료에 자기-비하를 대치할 수 있는 자기-자비(self-compassion)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우울증의 재발은 반추에 의해 촉발된다고 MBCT는 보고 있다. 반추는 부정적인 생각을 반복하는 행위이다. 우울증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반추의 핵심 내용으로 수치심과 열등감이 제안되고 있다. 본질적으로 자비는 사랑과 관용의 태도로, 모든 중생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자기-자비는 불교의 자비를 자기 자신에게 적용한 것이다. 자신에 대한 비난이나 부정적인 시각을 대치할 수 있는 것이 자기-자비이다. 자기-자비는 MBCT의 알아차림 명상에 내재해 있다. 자기-자비는 알아차림 명상과 마찬가지로 불교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불교의 중요한 개념인 ‘자비’에서 유래한다. 자기-자비의 주요 특징은 자기비판이 없다는 것이다. 자기비판은 우울의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기-자비의 증가와 더불어 반추가 줄어들고 반추의 감소는 곧 우울 증상의 완화로 이어진다. 자기-자비는 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인 감정으로 폭력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을 수용하게 한다.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is developed to aid in preventing the relapse of depression. It utilizes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CT) methods and adds in Buddhist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focuses on becoming aware of all incoming thoughts and feelings and accepting them, but not attaching or reacting to them. The goal of MBCT is to interrupt these automatic processes and teach the participants to focus less on reacting to incoming stimuli, and instead accepting and observing them without judgment.
Depressive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dysfunctionally negative views of oneself, one's life experience and the world in general. Depressed patients often view themselves as deficient, helpless, and/or unlovable, and they tend to attribute their unpleasant experiences to their presumed physical, mental, and/or moral deficits. They tend to feel excessively guilty, believing that they are worthless, blameworthy, and rejected by self and others. Self-criticism tends to lower one's opinion of oneself, and can lead to depression.
We can infer the element of self-compassion against self-criticism i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in MBCT. We can conclude that self-compassion is one of the possible working mechanisms in MBCT. Self-compassion is about fully accepting oneself while in pain. It is the ability to join one’s feelings of suffering with a sense of loving-kindness. Self-compassion is based on the Buddhist idea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Compassionate loving-kindness for all living beings starts from oneself with self-compassion, which negates self-criticism, a major cause of depression.
目次I. 들어가는 말 149
II. 자기-비난과 우울증 151
III. 자비와 MBCT의 명상 155
V. 맺는 말 162
ISSN12261386 (P)
點閱次數80
建檔日期2022.09.19
更新日期2022.09.2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920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