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나타난 심의식의 비밀[心意識秘密]에 대한 고찰 -- 원측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를 중심으로=The secret of the citta-mano-vijnana in Samdhi-nirmocana-sutra
作者 백진순 (著)=Baek, Jin-soon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64 n.0
出版日期2013.02
頁次37 - 63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조교수
關鍵詞심의식의 비밀=心意識秘密=the secret of the citta-mano-vijñāna;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the seed consciousness; 업력=業力=the energy of karma; 집수=執受=hold and receive; 동분=同分=sabhāga; 불사성=不死性=immortality; 윤회의 주체; the entity of saṃsāra=輪廻
摘要이 글의 목적은 『해심밀경』에서 설한 심의식의 비밀, 즉 윤회의 주체로서의 일체 종자식의 감춰진 의미를 명료하게 밝히는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한편으로는 생사 윤회의 세계에서 죽지 않고 연속되는 것의 정체를 철학적으로 규명해보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과 무아(無我)의 교설을 조화시키는 이론적 장치들을 찾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심의식의 비밀에 대한 교설에 함축된 역설적 의미들이 드러난다. 첫 번째 역설적 의미는 일체종자식이 생과 생을 잇는 업력의 담지자라는 데서 유래한다. 윤회의 과정에서 일체종자식은 육체와 종자를 집수(執受)함으로써 새로운 육체를 출현시키고 증장시키는 내적인 원리로 작용한다. 이러한 일체종자식의 세계에서 보면, 무상한 개체의 ‘삶’은 죽음을 통해 근원적으로 무화되는 것은 아니라 역설적으로 불사성(不死性)을 띠게 된다. 두 번째 역설적 의미는 이 식이 ‘자아’와 같은 어떤 실체가 아니라 ‘분별(分別)’이라는 순수한 활동이라는 데서 유래한다. 윤회의 세계에는 업을 짓고 과보를 받는 자아와 같은 것은 없지만, 끊임없이 무상한 몸짓·말·생각들로 현현하면서 동시에 그 모든 행위들의 인과를 연속시키는 어떤 근원적 활동이 존재한다. 이처럼 삼세에 걸쳐 행위의 인과가 연속되는 세계에서는 각각의 행동들은 과거의 메아리이고 미래에 대한 조짐이기 때문에, 무한한 시간 속에서 모든 선행과 악행들은 서로를 교정하고 보완하면서 어떤 비밀스런 의미를 완전하게 드러낸다. 말하자면 무수한 생사의 고통을 거치면서 드러나는 업력의 불사성이야말로 진정으로 열반의 불생불멸(不生不滅)과 대칭되는 어떤 것으로 되고, 이것이 바로 유식학자들에 의해 정당화되는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의 의미다.

In this treatise, I tried to reveal the secret meanings of the citta-mano-vijñāna which is called sarva-bījaka or the ‘seed consciousness(種子識)’ and regarded as the entity ofsaṃsāra(輪廻) in Saṃdhi-nirmocana-sūtra(解深密經). As a result, two paradoxical meanings of it are disclosed. One paradoxical meaning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eed consciousness is the holder of the ‘energy of karma(業 力)’, reincarnating sentient beings as one of the ‘six states existence(六趣)’. In this world of karma, transient being exposes its immortality rather than it is eliminated completely by its death, because the energy of karma(the bīja-s) and a new body with its sense-organs are ‘held and received(執受)’ by consciousness in the first moment of a new life’s coming into being. The other paradoxical meaning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eed consciousness in itself is vikalpa(分別) or discrimination, not a real entity but a pure activity. In the world of a reward in accordance with a deed, every act is an echo of the past and an omen of the future. All good deeds in endless times offset all bad deeds and the other way round all bad deeds do this, so all acts create together another paradoxical meaning. That is, the immortality of karma exposed by passing through innumerable deaths matches perfectly the perpetuity of nirvāṇa. To yogācāra school, it may be the meaning of the sentence ‘life-death and nirvāṇa are one and the same(生死卽涅槃)’.
目次I. 들어가는 말 39
II. 윤회의 주체와 연관된 몇 가지 문제들 41
III. 심의식의 비밀[心意識秘密] 47
IV. 맺는 말 58
ISSN12261386 (P)
點閱次數104
建檔日期2022.09.21
更新日期2022.09.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949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