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붓다의 깨달음 직후 7주간의 행적 내러티브 연구 - Dīpavaṃsa 1.29-30송과 Mahāvaṃsa 1.13송, 그리고 Papañcasūdanī vol.II pp.183-186을 중심으로=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 Traces of the Buddha for 7 Weeks After His Awakening
作者 김경래 (著)=Kim, Kyung-rae (au.) ; 안재근 (著)=Ahn, Jae-geun (au.) ; 권예림 (著)=Kwon, Yea-lim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60 n.0
出版日期2021.07
頁次219 - 242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공동저자: 권예림*/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석사과정
공동저자: 안재근**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석사과정
교신저자: 김경래***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조교수
關鍵詞디빠왕사=Dīpavaṃsa; 마하왕사=Mahāvaṃsa; 빠빤짜수다니=Papancasūdanī; 연대기; 테라와다 아비담마=Theravāda Abhidhamma; chronicles
摘要붓다의 깨달음 이후 7주간의 행적은 스리랑카를 비롯하여 테라와다를 신앙하는 다수의 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내러티브를 다루고 있는 연대기와 주석서들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문헌들 속에서 이 내러티브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논자가 비교연구를 위해 선정한 텍스트는 테라와다 전통의 대표적인 두 연대기 『디빠왕사(Dīpavaṃsa)』와 『마하왕사(Mahāvaṃsa)』, 그리고 주석서 『빠빤짜수다니(Papañcasūdanī, Majjhima Nikāya Aṭṭhakathā)』이다. 이들 두 연대기는 간략한 게송으로 붓다의 행적을 묘사하고 있음에도 총 7주에 걸친 해당 내러티브의 분명한 기간과 더불어 각각의 장소들 또한 정확히 명시하고 있다. 또한 주석서는 이 7주간의 행적을 화려한 수식어구들과 풍부한 비유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특히 주석서의 내러티브는 아비담마의 기원을 묘사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으며, 더불어 운문으로 구성된 연대기가 생략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들을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전 초기문헌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후기 빠알리 문헌들에서만 발견되는 서술적 특징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삼장 이후 테라와다 문헌들이 모종의 일관된 해석학적 의도를 바탕으로 저술되었을 가능성, 그리고 그 의도가 지향하는 목적이 바로 아비담마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The narrative concerning the traces of the Buddha for 7 weeks after his awakening has been transmitted in diverse forms in Theravādin countries in South Asia.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 groups of Pāli literature recount the narrative variously by looking into two chronicles (Dīpavaṃsa, Mahāvaṃsa) and a commentary (Papañcasūdanī). Dīpavaṃsa and Mahāvaṃsa portray the traces of the Buddha in brief verses while underlining that the narrative covers a period of 7 weeks and identifying the specific places the Buddha visited during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same narrative is expressed in Papañcasūdanī through metaphors and embellishments. This version of the narrative contains more detailed information missing in the verses and is notably dedicated to establishing the origin of Abhidhamma. These can be interpreted as characteristics peculiar to later Pāli litera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hermeneutic intentions of Theravāda literature after Tipiṭaka with the establishment of Abhidhamma at the center.
目次국문초록 220
I. 서론 221
II. 연대기 비교연구: Dpv 1.29-30; Mhv 1.13 223
III. 주석서 분석: ; Pps II pp.183-186 225
IV. 결론 235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21..60.007
點閱次數30
建檔日期2022.12.11
更新日期2022.12.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5860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