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현공 윤주일의『불교입교문답』에 나타난 사상 연구=A Study on Hyungong Yoon Ju-il’s Thoughts in Questions and Answers for Introduction to Buddhism
作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62 n.0
出版日期2022.03
頁次75 - 112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고려대학교 강사
關鍵詞유교의 역할=the role of Confucianism;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관점=the point of view of faith in self-power and faith in other-power; 생산적 불교=productive Buddhism; 대중불교=popular Buddhism;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the viewpoint that ‘everyday life is practice’
摘要이 글에서는 현공 윤주일의 󰡔불교입교문답󰡕의 내용을 4가지 사항으로 검토한다. 2장에서는 현공이 유, 불, 도 삼교의 동일점과 차이점을 주장했지만, 그렇지만 조선조 500년 동안 유교의 역할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는 점을 밝힌다. 3장에서는 현공이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관점에서 불교를 바라본 내용을 소개한다. 불교는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요소를 겸비하고 있고, 또 타력신앙의 관점에서도 불교의 특색이 있다. 4장에서는 현공이 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 대해 반론하고, ‘생산적 불교’와 ‘대중불교’를 계승한 점을 검토한다. 불교가 경제발전에 방해가 된다는 주장에 대해 반론하고, 또 불교가 염세의 종교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론한다. 그리고 현공은 일제강점기 불교개혁론에서 주장한 ‘생산적 불교’와 ‘대중불교’를 수용하고, 그것을 조금 더 진전된 형태로 바꾼다. 5장에서는 현공이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을 주장한 것을 알아본다. 이는 해탈과 열반이 출세간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일상생활 속에서 증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공은 세속적인 사업을 한다고 해도, 남을 구제하겠다는 정신으로 한다면 그것은 불교의 수행에 포함된다고 한다. 그리고 현공은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을 구체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으로 자신의 수행경지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점검하는 내용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contents of Questions and Answers for Introduction to Buddhism by Hyungong Yoon Ju-il in four ways. In Chapter 2, it is revealed that Hyeongong argued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ut was critical of the role of Confucianism during the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Chapter 3 introduces Hyeongong’s view of Buddh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faith in self-power and faith in other-power. Buddhism has the elements of faith in self-power and faith in other-power, and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Buddhism in terms of faith in other-power. In Chapter 4, Hyeongong opposes critical views on the social function of Buddhism and examines his succession of ‘productive Buddhism’ and ‘popular Buddhism’. He opposes the claim that Buddhism is an obstacl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also opposes the claim that Buddhism is a religion of pessimism. And Hyeongong accepts ‘productive Buddhism’ and ‘popular Buddhism’ as claimed by the Buddhist reform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hanges them into a more advanced form. Chapter 5 examines Hyeongong’s insistence on the view that ‘everyday life is the practice’. This means that liberation and nirvāṇa are not in the realm of supramundane, but can be attained in daily life. Therefore, Hyeongong insists that even though man is engaged in secular business, it is included in the practice of Buddhism if man intends to help others. In addition, Hyeongong presents a way to materialize the viewpoint that ‘everyday life is practice’, and also presents the contents of checking to what extent one’s performance level has improved with this method.
目次I. 서론 78
II. 유, 불, 도 삼교에 대한 견해 81
III. 자력신앙과 타력신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불교 84
IV. 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반론함과 대중불교의 계승 85
V. ‘일상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 94
VI. 결론 105
ISSN12297968 (P)
DOIhttp://dx.doi.org/10.22859/bojoss.2022..62.003
點閱次數62
建檔日期2022.12.12
更新日期2022.12.1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5872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