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A Comparative Study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四念處)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作者 임승택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40 n.0
出版日期2013.08
頁次231 - 270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학교 철학과
關鍵詞니까야=Nikāya; 구사론; Abhidharmakośabhāṣya; 사념처; 지속적인 관찰; 위빠사나; cattāro-satipaṭṭhānā; anupassin
摘要본고는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를 분석․비교한다. 니까야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한다. 또한 사념처의 와중에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동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구사론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가 아닌 사마타 실천법으로 간주한다. 또한 사념처 자체에 대해서는 위빠사나 일변도의 수행으로 규정한다. 사념처에 관한 두 문헌의 차이는 수행의 위계 문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대념처경 등의 니까야 문헌에는 사념처를 통해 아라한이라는 궁극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그러나 구사론은 수행의 위계에 대해서는 세부적으로 구분하지만 정작 궁극의 경지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삼간다. 따라서 니까야의 사념처와 구사론의 그것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가 니까야 내부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사념처 관련 경전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특히 대념처경의 사념처는 니까야 도처에 산발적으로 묘사되는 잡다한 부류의 실천 유형을 총괄하는 성격을 띤다. 구사론의 사념처는 이러한 분위기가 아비달마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는 가운데 구체화된 것으로 보인다.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의 변용은 아비달마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면서 전래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wo class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四念處),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which separately appear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In Nikāyas, Ānāpānasati(持息念) and asubha-bhāvanā(不淨觀) are classified as the detail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considers both of them as Samatha(止) which is the opposite practice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called vipassanā in Buddhist tradition. This means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one-sided practices which exclude ānāpānasati and asubha-bhāvanā. At this point,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take different positions. The differences of opinions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betwee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become even more striking in the theories of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Nikāyas say that we could reach the ultimate state of arhat(阿羅漢) with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refrains from those kinds of comments on this issue in spite of the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In this way, the cattāro-satipaṭṭhānā which appeared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look completely different. But I believe that both of them have common purposes to inherit the teachings of Buddha from their own points of view.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ay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Nikāyas could be regarded as the origin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t is because the former were compiled earlier in time than the latter. I think that the transformations which we can fin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the results of re-interpretation reflecting the new period called Abhidharma.
目次I. 시작하는 말 234

II. 니까야의 사념처 236

III. 구사론의 사념처 247

IV. 구사론의 사념처와 수행의 위계 255
V. 니까야와 구사론의 사념처 비교 259
VI. 마치는 말 264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3..40.007
點閱次數67
建檔日期2023.01.30
更新日期2023.01.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50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