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九山 禪師의 上堂法語集 『九山禪門』 分析 試論=An Analytic Essay on Ku-San's Nine Mountains(『九山禪門』), the Buddhist Sermon on the Dais
作者 辛奎卓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37 n.0
出版日期2012
頁次13 - 60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延世大 哲學科 敎授, 中國 華嚴 및 禪思想 專攻
關鍵詞구산 수련=九山秀蓮=Kusan Surien; 『선문염송』=禪門拈頌=Son-Mun-Nem-Song; 영지=靈知=Yŏngji; 상당법어=Buddhist Sermon on the Dais=上堂法語; 송고=頌古= Traditional Eulogy; 지눌=知訥=Chinul
摘要구산 수련(九山秀蓮 : 1909-1983) 선사는 송광사에서 1969년부터 약 15년간 참선 수행자를 대상으로 설법을 했다. 이 설법에 사용된 원고 모음집이 바로 『구산선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책을 대상으로 하여, 구산 선사의 선사상을 형식의 측면과 내용의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법적으로는 총 208회에 달하는 법어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또 시기별로 나누어서, 그 특징들을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설법 형식상에 드러난 특징으로, 그는 『선문염송』에 기초하여 중국 선사들의 화두나 게송을 ‘염거’하고, 그런 다음에는 ‘별어’ 또는 ‘대어’하는 형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사용하는 문장의 형식은 게(偈)․송(頌)․평창(評唱)이다. 물론 『선문염송』 중 어떤 내용을 선택하는 가는 역시 설법 당시의 상황에 따라 달라졌다. 둘째 설법의 내용상에 드러난 특징으로, 그는 중국의 간화선의 전통이 그렇듯이, 각 사람마다 본질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불성(佛性)의 체험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 불성은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한편, 필자는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산 선사 당시 선원에서 실행되던 다양한 관행 등에 대해서도 밝혀낼 수 있었다.

Ku-San(九山秀蓮 : 1909-1983), a Zen master, had given lectures to meditation classes at Songgang Temple for 15 years since 1969. Nine Mountains(『九山禪門』) is the manuscript collections of the lecture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Gu-San's Zen thought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using Nine Mountain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classifies nearly 208-times lectures by topic and period, and investigates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as a formal characteristic of the lecture, Ku-San made ‘Story[話頭]’ or ‘gātha[偈頌]’ a subject of discussion in terms of his own perspective. And then he made comments on the quoted ‘Story’ or ‘gātha’ differently and substitutionally. ‘Gātha’ or ‘interpretation[評唱]’ is the form of sentence. Of course, i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to choose the content for lecture among Son-Mun-Nem-Song(『禪門拈頌』). Second, as a feature of the lecture in terms of content, he emphasized the experience of 'buddhatā [佛性]', which each person has retained essentially, like Chinese Zen tradition. Of course, 'buddhatā' is not constrained in terms of time or space. In the meantime, this study reveals traditional practice, which has executed in the Zen temple at that time.
目次I. 머리말 16

II. 자료의 문제 18

III. 상당법어의 ‘형식’과 ‘내용’ 25
1. 상당법어의 ‘형식’에 나타난 특징 25
2. 상당법어의 ‘내용’에 나타난 특징 36
IV. 맺음말 51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2..37.001
點閱次數96
建檔日期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52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