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씨앗으로부터 싹의 발생: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와 후기 유가행파의 存在와 因果=The Production of a Sprout from a Seed: Existence and Causation in the Nyāya-Vaiśeṣika and the Later Yogācāra Schools
作者 우제선 (著)=Woo, Je-son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37 n.0
出版日期2012
頁次371 - 393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關鍵詞因=cause; 果=effect; 因果效力=causal efficiency; 主要因=main cause; 補助因=auxiliary cause; 共同因=cooperating cause; 씨앗=seed; 싹=sprout
摘要다르마끼르띠(Dharmakīīrti, ca. 600-660)가 存在(sattva)를 因果效力으로 정의를 한 이래, 존재와 因果는 인도 종교철학에서 주요 논제가 되었다. 브라만교의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와 불교의 후기 유가행파는 이 주제에 대해 오랜 기간 논쟁을 해 왔다. 핵심 쟁점은 씨앗으로부터 싹의 발생을 인과론적으로 어떻게 설명하는가이다.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의 입장에서 씨앗은 지속하는 것이다. 이것은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씨앗은 일정 시간동안 흙, 수분 등의 도움을 받을 때 이 잠재력을 현실화해서 싹을 생산한다. 하지만 이것은 싹 이외의 것의 생산에 관여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후기 유가행파의 입장에서 씨앗은 찰나 생멸하는 것이다. 싹을 실제 생산하는 因은 씨앗의 맨 마지막 찰나이다. 이 씨앗의 찰나가 동일한 찰나에 있는 흙, 수분 등과 공동으로 싹을 생산한다. 아울러 이것은 싹의 맨 처음 찰나주위에 있는 흙, 수분 등에도 영향을 끼친다.

Ever since Dharmakīrti defined existence (sattva) in terms of causal efficiency (arthakriyā), causation has been a central topic of debates between the later Yogācārins and their rival Naiyāyikas. One of the points at issue is how to explain the production of a sprout from a seed. In the Nyāya-Vaiśeṣika view, a seed is non-momentary. It has the potentiality to produce a sprout. A seed and its auxiliary causes have the relation of the assisted and assistants. The seed gets help from soil, water, and so on and then it produces a sprout. In the later Yogācāra view, on the other hand, a seed is momentary. It is the actual producer of a sprout. Mutual help is impossible for a seed and soil, water, and so on at the same moment. They produce a sprout as an individual entity. The Naiyāyikas insist that a seed produces only a sprout but nothing else. So, their causality is one-one relation. However, the later Yogācārins explicate that a seed participates in producing both a sprout and soil, etc. So, their causality is one-many relation.
目次1. 들어가는 말 374
2. 因의 정의 375
3. 因果關係 377
4. 因果論의 적용 380
4.1. 의존성과 개별성 380
4.2. 단일성과 다수성 384
5. 나오는 말 386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2..37.010
點閱次數78
建檔日期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75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