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頓悟漸修의 요가 철학적 성격=The Yoga Philosophic Characteristic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
作者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35 n.0
出版日期2011
頁次543 - 580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동국대 불교대학 교수
關鍵詞지눌=Jinul; 돈오점수=sudden enlightenment; 수심결=Susimgyeol; 순수정신; 훈습; 선정=禪定; 삼매=samādhi=concentration; 요가=Yoga; 영적공지심; 자성문정혜와 수상문정혜; 식별지; Zen; viveka-khyāti=discriminate discern-ment; dhyāna=con-templation; vāsanā=consciousness-impressions; pusuṣa=the Self; gradual cultivation
摘要인도 불교의 본류가 중국으로 흘러들어가 선종이라는 하나의 지류를 형성하였다. 인도의 수행 전통에서 선종에 배대할 만한 유파를 찾자면, 그것은 단연 요가 철학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선종과 요가 철학의 수행론에서 공유하는 요체로 한눈에 드러나는 것은 선정과 삼매이기 때문이다. 선종은 선정(禪定)을 성불의 수단으로 표방한다. 한편 요가 철학은 삼매를 독존(해탈)의 수단으로 표방한다. 수행법으로 보면 선종에서는 선정을 수습하고 요가 철학에서는 삼매를 수습한다. 이 점에서 선정과 삼매는 동질의 노선을 견지한다. 이 같은 노선은 『수심결』에서 지눌이 역설하는 점수론으로 확연히 드러난다. 『수심결』의 핵심 주제는 영적공지심, 돈오점수, 자성문정혜와 수상문정혜이다. 여기서 지눌은 초지일관하여 점수의 불가피성을 역설한다. 요가 철학은 이러한 점수의 불가피성을 지지하는 데 확고한 기반을 제공한다. 『수심결』에서 점수가 필요한 이유로 지목한 것은 습기이다. 그런데 요가 철학에서는 이러한 습기를 더욱 확고하게 주목하고 있다. 단번에 제거할 수 없는 것이 습기이다. 지눌에 의하면, 점수란 깨달음으로 습기를 점차 제거해 나가는 것이다. 요가 철학에서는 다생에 걸쳐 상속하는 습기를 신속하게 정복하지는 못하므로, 삼매에 진입한 상태에서도 지속적 수행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요가 철학에서 Puruṣa(순수정신)는 일상적 마음의 본성이자 독존(해탈)의 본성이기도 하다. 신아(神我) 또는 영아(靈我)로 번역되는 이 Puruṣa는 『수심결』에서 역설하는 공적영지심의 지지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요가 철학에서 분류하는 무상·무종의 삼매와 유상·유종의 삼매는 각각 자성문정혜와 수상문정혜를 지지한다. 특히 자성문정혜의 ‘자성’에 상당하는 관념이 요가 철학에서는 ‘식별지’에 대한 관념으로 드러나 있다. 이와 아울러 요가 철학에서 식별지를 각성하는 것은 돈오점수의 ‘돈오’에 상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요가 철학의 수행론은 지눌의 점수론을 확고하게 지지한다. 요가 철학의 수행론은 인도에서 널리 수용되어 왔다. 이러한 사실은 지눌선의 합리성과 보편성을 뒷받침한다.

The main current of Indian Buddhism had flowed into China and formed a branch stream named Zen Buddhism. And Yoga Philosophy is the most suitable tradition of ascetic exercises in India as to compare with Zen Buddhism. Most of all in the theory of exercises, because the remarkable cardinal point common to Zen Buddhism and Yoga Philosophy is Dhyāna(Zen) and Samādhi respectively. Zen Buddhism claims to stand for Dhyāna as a means of attaining Buddhahood, while Yoga Philosophy claims to stand for Samādhi as a means of perfect isolation, that is, deliverance. In the respect of method in exercises Zen Buddhism practices Dhyāna(contemplation), and Yoga Philosophy practices Samādhi(concentration). From this standpoint Dhyāna and Samādhi adhere to a homogeneous route. Such a route is revealed definitely as the theory of ‘gradual cultivation’(漸修) emphasized by Jinul(知訥) in his Susimgyeol(修心訣). The essential themes of Susimgyeol are the mind of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空寂靈知心),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samādhi and prajñā of self-nature gate(自性門定慧),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of accompanying aspects gate(隨相門定慧). Here Jinul emphasizes the inevitability of gradual cultivation from first to last. Yoga Philosophy furnishes a firm foundation for supporting such an inevitability of gradual cultivation. It is vāsanā, that is, consciousness-impressions that Jinul indicates the reason why gradual cultivation is inevitable in his Susimgyeol. Then Yoga Philosophy pays attention to this vāsanā more deter-minedly. The vāsanā is consciousness-impressions, which can never be removed at one try. So according to Jinul, gradual cultivation is to remove vāsanās gradually through enlightenment. In the case of Yoga Philosophy, because vāsanās going on as unbroken series through more than one birth cannot be overcome promptly, it is argued that continuous exercises are needed even in a stage of achieving samādhi. Puruṣa(the Self, pure spirit) in Yoga Philosophy is not only the nature of ordinary mind but also the nature of perfect isolation. This Puruṣa translated as ‘divine self’ or ‘spiritual self’ can support the mind of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空寂靈知心) spoken with emphasis by Jinul in his Susimgyeol. Yoga Philosophy also classifies samādhis into two groups. One is classified again into two kinds of samādhi, that is, asaṃprajñāta(unconscious) and nirbīja(seedless). The other is also classified into two kinds of samādhi, that is, saṃprajñāta(conscious) and sabīja(seeded). Of these two groups, the former supports the samādhi and prajñā of self-nature gate(自性門定慧), while the latter supports the samādhi and prajñā of accompa-nying aspects gate(隨相門定慧). Particularly the concept of self-nature included in ‘the samādhi and prajñā of self-nature gate’ seems to be equivalent to the idea of viveka-khyāti(discriminate discernment), which is very important in Yoga Philosophy. Furthermor
目次I. 머리말 547

II. 空寂靈知心 549

III. 頓悟漸修 556

IV. 自性門定慧와 隨相門定慧 565
V. 맺음말 573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1..35.012
點閱次數73
建檔日期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78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