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성 조제암의 역사 복원 시고=A Study on the Historical Restoration of Goseong Jojeam Temple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36 n.0
出版日期2021.12
頁次9 - 40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역사교육과 교수
關鍵詞조제암=Jojeam Temple; 건봉사=Keonbongsa Temple; 진표=Monk Jinpyo; 나옹=Monk Naong; 세조=King Sejo; 혼원=Monk Honwon
摘要본고는 민통선 내에 위치하였던 고성 조제암의 역사를 복원하고자 한 연구이다. 조제암은 본사인 건봉사와 남북 분단 이후 민통선 지대에 위치하여 관심을 별로 갖지 못하였다. 본사인 건봉사는 일제강점기 31본산의 큰 사찰로 사명 유정의 진신사리 봉안과 더불어 현대에 들어와 주목을 받아 복원되었으나 조제암은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조제암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만해 한용운과 건봉사 주지 대련 덕문이 『건봉사지』를 편찬하면서 간략한 연혁이 정리되었다. 그 가운데 진표와 나옹, 세조 관련 금강산과 관동 일대의 제기록을 통해 조제암의 근세이전의 역사를 입증하고자 하였지만 사실로 인정될 개연성이 높다. 조선후기 이후 조제암의 역사는 제 읍지류와 불교 지리지류, 그리고 『혼원집』의 중건기에 의해 간략하나마 대략적인 역사를 조망할 수 있으며, 특히 청허 휴정의 문손인 극암 사성과 문도(문손)들이 조제암에 주석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몇 건에 지나지 않지만 유자들의 문집류에 단편적인 관련 기록들로 조제암의 당시 일면 사세를 엿볼 수 있다. 근대인 일제 강점기 사찰령하에 총독부 관보에 조제암의 주지 인가 관련 기록으로 조제암의 주지를 맡은 고승들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사찰령에 의하면 본사의 주지가 조제암의 주지를 겸무하였으며, 건봉사 주지로 인가 받은 후 조제암 주지가 선정되었던 듯하다. 총독부 관보에 조제암의 전각 규모와 토지 및 임야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서 당시 조제암의 간략한 사세를 엿볼 수 있다. 조제암은 해방 후 건재하다가 6.25전쟁으로 폐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제암의 역사가 복원되고 금강산 길이 열리어 강원남북도와 남북한이 하나가 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paper is a study to restore the history of Goseong Jojeam Temple Hermitage, which was located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Jojeam Temple Hermitage was located in the civilian control line area after the division of Geonbongsa Temple, the headquarters, and the north-south division, so it was not very knowing. Geonbongsa Temple, the headquarters, is a large temple at the headquarters of Japanese colonial era 31, and was restored in modern times along with the enshrinement of Jinsinsari Temple in Monk Samyeong-Yujeong, but Jojeam Temple Hermitag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As for the history of Jojeam Temple Hermitage,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colonial era Manhae Han Yong-woon and Daeryeon-Deokmun compiled Geonbongsaji and organized a brief history. It is difficult to trust at this time because the history of crude cancer organized by it is very later data.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prove the history of Jojeam Temple's modern history through records of Geumgangsan Mountain and Gwandong area related to Monk Jinpyo, Monk Naong, and King Sejo.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istory of Jojeam Temple Hermitage can be seen briefly by the Eupji(Geography), Buddhist geography, and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Honwonjip(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Monk Geukam-Saseong and disciples of Monk Cheong-Heo were present at Jojeam Temple Hermitage. There are only a few other cases, but the records related to the literature and collection of citron provide a glimpse of Jojoam Temple's situation at the time. Modern Japanese occupation, the Governor-General in the official gazette Jojeam Temple not of the relevant records to a note of the Jojeam Temple a prelate who can know thei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le decree, the chief monk of the headquarters served as the chief monk.
目次I. 들어가는 말 11

II. 근세이전 조제암의 전승 기록 검토 14
1. 진표의 觀音庵 창건과 금강산 鉢淵藪 14
2. 나옹의 금강산 불교와 海日庵 중수 15
3. 세조의 오대산 불교와 금강산 조제암 18
III. 조선후기 조제암 관련 기록과 고승 20

1. 조선후기 읍지와 문집에 보이는 조제암 20

2. 조선말기 克庵 師誠의 문도와 大信의 중수 23
IV. 근·현대 건봉사 주지와 말사 조제암 27
1. 일제강점기 건봉사 주지와 조제암 27
2. 해방후 6.25전쟁과 조제암 폐사 30
V. 나가는 말 31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1..36.001
點閱次數25
建檔日期2023.03.22
更新日期2023.03.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2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