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 - 정중무상을 중심으로=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yeombulson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Focusing on Jeongjoongmusang
作者 정광균 (著)=Jung, Kwang-gyu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34 n.0
出版日期2020.12
頁次201 - 249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關鍵詞염불선=Yambulson; 淨衆無相=Jeongjoongmusang; 禪念交涉=sonyeom bargaining; 禪念融合=sonyeom fusion; 參究念佛=chamguyeombul; 體究念佛=cheguyeombul; inseongyeombul
摘要본 논문은 중국의 전적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중국의 염불선은 네 가지 관점에서 계승하고 발전하였다. 첫째는 오직 염불만을 강조한다. 염불에 편향하여 오직 염불이야말로 바로 선이고 염불이라고 둘을 닦는 염불과 선의 교섭형태인 담란과 도작, 선도, 승원과 법조로 이어진 선염교섭(禪念交涉)의 형태다. 둘째는 융합하는 형태다. 아직 뚜렷하게 실제의 수행방법을 제시하지는 않고 뭉뚱그려서 선과 염불에 모순이 전혀 없다고 주장하여 선과 염불을 쌍수(雙修)하도록 독려하는 여산혜원과 자민삼장, 무상과 연수의 선염겸수(禪念兼修)의 선염융합(禪念融合)의 형태로 자력과 타력이 조합한 것이다. 특히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염불선에 대해서는 계정혜(戒定慧) 삼학이 인성염불로 수렴되어 무념(無念)의 정념(正念)으로 관철됨과 함께 수행할 내용으로 무상오경전과 오회염불을 관련지어 대중포교인 수계의식과 수행 과정을 함께 진행되는 초저녁에서 새벽까지 오경전의 선적인 사상을 가미해서 당시 일반 대중의 속요인 노랫가락을 인성염불에 결부시켜 체득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셋째는 참구염불(參究念佛)의 형태다. 즉, ‘염불하는 자는 누구인가?’라고 참구함은 화두참구와 같은 방식으로써 염불을 선에 결합시켜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사실 염불을 배제한 선에 치우친 염불화두의 형태로 염불의 신앙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화두 참구와 같은 것이다. 넷째는 염불과 선이 일치하는 완전한 융합형태다. 이는 ‘염불이 바로 선이고 선이 바로 염불’이라는 관점에서 염불을 수행해도 무방하고 선을 참구해도 무방하다는 완전한 선염일치(禪念一致) 형태의 체구염불(體究念佛)이다. 이것이 바로 무상과 금타, 청화가 추구한 염불선이다.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China. China's Yeombulson succeeded and developed from four perspectives. The first emphasizes only yeombul. Being biased against yeombul, only yeombul is the son, and yeombul is a form of sonyeom(禪念) union that is connected with damran(曇鸞) and dojak(道綽), sundo(善導), seungwon(承遠) and bubjo(法照), which are the forms of bargaining between yeombul and son. The second is the form of fusion. Yeosan-Hyewon and Jamin-Samjang, and sonyeom of Musang(無相) and Eynsoo(延壽), who have not yet clearly presented the actual method of practice, and insist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son and yeombul, and encourage son and yeombul to be double-numbered. In the form of sonyeom fusion(禪念融合), it is a combination of magnetic and other forces. In particular, for Jeong joong mu sang's Inseongyeombul and Yeombulson, the public missionaries by linking musangogeongjun and oheiyeombul as the content to be carried out along with the convergence of the three Gey-Jeong-Hye(戒定慧) Samhak to the Inseongyeombul and fulfilling them as the passion of ignorance(無念). From early evening to dawn in which the water consciousness and the process of practice are carried out together, the son-like thought of ogeongjun(五更傳) was added, and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ongs of the general public at that time by linking them to Inseongyeombul(引聲念佛) was reviewed. The third is the form of chamguyeombul(參究念佛). In other words, ‘Who is the yeombul?’ is a method of practicing by combining yeombul with the son in the same way as the buzzword. This is, in fact, like hwadoo chamgoo(話頭參究),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yeombul's faith in the form of yeombul chamgoo, which is biased toward son excluding yeombul. Fourth is a complete fusion form in which yeombul and son coincide. This is a cheguyeombul(體究念佛) in the form of a complete sonYam match, saying that it is safe to practice yeombul and to take care of the son from the viewpoint of ‘yeombul is the son and son is yeombul’. This is the Yambulson pursued by Musang, Geumta, and Cheonghwoa Cheonghwa.
目次I. 시작하는 말 203

II. 중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발전 206
1. 교가(敎家)의 선염교섭(禪念交涉) 206
2. 선가(禪家)의 선염융합(禪念融合) 215
3.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염불선 221
4. 염불선의 계승발전 234
III. 끝맺는 말 243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0..34.006
點閱次數70
建檔日期2023.03.22
更新日期2023.03.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24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