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가재의 『정토론』에 드러난 왕생요인(要因)과 왕생인(人)=The Study of Wangsaeng Factors and Wangsaeng People Revealed Gajai's 『Jungtolon』
作者 정광균 (著)=Jung, Kwang-gyu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31 n.0
出版日期2019.06
頁次73 - 10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외래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關鍵詞가재=Gajai; 정토론=Jungtolon; 정토종=Jungtojong; 왕생요인(要因)=wangsaeng factors; 왕생인(人)=wangsaeng people; 정토=the pure land; 왕생=wangsaeng
摘要섭론종에서 정토종으로 전환한 가재(迦才)는 도작이 찬술한 『안락집(安樂集)』에 드러난 내용에서 12부의 경전과 5부 2게송의 논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기술하면서 세간의 대중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을 명백하게 귀납하고 비교해서 『정토론(淨土論)』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논서의 내용은 다분히 섭론종의 이론과 소부의 기타 경론의 이치를 입증한 실례를 들어서 논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답의 방식으로 해답함으로써 당시 정토법문이 발전하는 과정에 상당히 중요한 지위와 영향을 점유하였다. 특히 정토삼부경에 표출된 정토에 왕생할 요인의 모순과 충돌하는 내용을 해소시켰다. 『정토론』에서 논하는 그 핵심을 말한다면, 먼저 삼신정토의 관점을 논한 다음에 어떤 사람들이 정토에 왕생할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수행을 통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으며, 끝으로 어떤 이치에 의지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먼저 정념(正念)을 보호하여 유지한 사람들, 다음에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사람들, 끝으로 아미타불의 타력에 의지한 인연을 원만하게 구족한 사람들이 바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가재는 정토법문을 가지고 원만한 해석을 시도한 다음에 당시 정토를 연구한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가재의 정토왕생에 대한 이론은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인정되는 부분이다.

In this paper, Gajai who converted from Sublonjong to Jungtojong, analyzed the disputes of 12 volumes of scriptures and 5 volumes of 2 phrases in the contents revealed in the Book of 『Alakjib』. In addition, he reconstructed 『Jungtolon』, clearly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work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them while adding his own views.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which proves the theory of Sublonjong and other observations of commentary. In addition, by the way of answering in the way of the dialogue, it occupied a considerable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law at that time. Especially, the contents which conflict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factor of wangsaeng on the Jungtosambusūtra expressed in the Pure Land were solved. If we talk about the core of 『Jungtolon』, we first discuss the point of Samsinjungto, then we can going born some people to pure land, then going born to pure land through some execution, Finally, we discussed how we can going born pure land by relying on some reason. Conclusively speaking,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ose who have preserved and preserved the essence first, those who followed bodhi citta, and those who have endured the lasting dependence on the power of Amitabha You can do going born. In this way, the lobsters had a profound effect on those who studied pure land at the time after attempting an amicable interpretation with the paper making method. The theory of Gajai's wangsaeng to the pure land is well worthy of study.
目次I. 들어가는 말 75

II. 왕생요인(要因)과 왕생인(人)의 분석과 의의 77
1. 정토론(淨土論)의 구성내용 77
2. 정토삼부경의 왕생인과 왕생요인 79
3. 가재의 왕생요인과 왕생인 87

4. 가재의 왕생사상의 의의 96
III.나가는말 101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19..31.003
點閱次數40
建檔日期2023.03.23
更新日期2023.03.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29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