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선후기 불교장엄과 의례에 수용된 정토사상=The idea of the Pure Land adopted in the majesty and ritual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作者 송법엽 (著)=Song, Bub-yub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7 n.0
出版日期2017.12
頁次331 - 368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겸임교수.
關鍵詞정토=Pure-Land,; 경전=Sutra; 장엄=Decoration; 의례=Ceremony; 건축=Building; 회화=Picture; 신행=Believe and practice; 습합=Combination; 수행=Perform; 보살=Bodhisattva
摘要불교의 장엄은 세존의 가르침인 사상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절차를 통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알리는 구체적인 행위이며, 정토사상에서는 대승불교의 이념을 실천하는 보살사상을 논장 등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의례는 종지(宗旨)가 지닌 의미를 현실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재해석되고 고유한 형식으로 정형화되는 것이고, 이러한 의례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의식으로 체계화되면서 공덕, 설법, 공양, 계율, 지혜, 감응, 청정 등으로 여러 측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토삼부경』에 나타나는 정토장엄은 초기경전인 『장아함경』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율장에서도 회화와 건축 등의 요소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데, 밀교경전에서는 국토장엄과, 법장엄이 정진으로 승화되는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후기 불교의 장엄이 여러 시각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은 당시에 사상적 기반이 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까닭으로 일반 백성들을 위하여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현상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 제약이었다. 따라서 불교문화는 건축과 탱화, 의례의 형태로 발전하였던 현상은 조선후기의 시대적인 특징이었다. 불교건축은 미학적인 측면과 사상적 측면을 사상적 측면을 조화롭게 생각하여 사찰의 여러 요소들의 조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단순한 의례의 공간적인 형식에서 벗어나서 기능이 확대되었다. 불상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한 조각의 부류인 불감은 조각과 회화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불교미술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회화는 신행을 위한 공간을 이용하려는 목적에서 수용되었다. 사찰의 장엄과 불보살에게 예경하려는 목적과 대중에게 불교의 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나, 사상적인 부분에서는 정토신앙을 중심으로 밀교, 지장신앙과 화엄신앙과 습합이 일어났던 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토사상이 수용된 의례로는 수륙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의례의 전체적인 구성은 정토신앙을 현실화하는 성격을 잃지 않고 일정한 신앙체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형적 불교문화와 무형적인 불교의례에서는 여러 사상을 수용한 조선후기의 정토사상은 큰 범주에서 여러 전통적인 신앙과 당시의 민간신앙까지 융화시켜 신앙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이런 정토사상과 민간의 관습적인 내용과 유교와 도교의 내용까지 융합시키는 장엄사상과 정토사상은 단순한 융합이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반영이면서 불교의 중도적인 관점에서 사상적 조화와 현재하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졌으며 오늘에 전해지고 있는 주목할 역사적 불교의 변용이었다.

The decoration of Buddhism is a specific act that informs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dea of the Bhagavat's teachings. In the idea of pure-Land, the idea of Bodhisattva practicing the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was extended to disputes. In addition, rituals are reinterpreted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religion, and they are formalized in a unique form. Such rituals have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s consciousness as a way to be practiced, and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such as virtue, sermon, food, godliness, wisdom, response, and cleanliness. The ornaments of the Pure-Land appearing in “Sutra of the Amitabha group” are also found in the early scriptures, “long of the Agamas”, and the element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can be examined in detail.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decoration of the land and the grandeur of the dharma are expanding into a process of sublimation. However, the majest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emphasized various aspects because the ideological foundation was based on Confucianism at the time, and the phenomenon that was actively developed for the general people was a reality that could accommodate visual and auditory effects It was a constraint. Therefore, Buddhist culture developed in the form of architecture, painting, and consciousness was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e of Buddhism pursues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s of temple and harmony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function is expanded by deviating from the spatial form of simple ritual. The Buddhist sculpture, which is a kind of sculpture develop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Buddhist statue, shows the form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cluding sculpture and painting elements. Buddhist paintings were accepted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the space for new activities. It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worshiping the majesty o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and the purpose of conveying the Buddhist doctrine to the public easily. However, in the ideological part, the image of the esoteric thought and guardian ideology, and the combination of Huayan and the idea of Pure-land are also centered on the idea of Pure-land. Also the ceremony of accept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ritual of water and fire. The whole composition of the ceremony has a certain belief system without losing the character of realizing the faith of the Pure-Land. Therefore, the ideology of the clean earth in the later Joseon period, which accommodated various ideas in tangible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Buddhist rituals, a
目次I. 序論 334

II. 경전에서의 장엄 335

III. 정토사상을 수용한 장엄 338
1. 건축과 조각 339
2. 회화 342

IV. 조선후기 정토사상과 의례 351
1. 의례의 범주 351
2. 정토신앙과 수륙재 354
V. 結論 359
ISSN12291846 (P)
點閱次數84
建檔日期2023.03.29
更新日期2023.03.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87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