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영명연수의 원융심성과 귀결점 - 정토의 심성과 관련해서=The flexible nature of mind and the resulting points of Yongming Yanshou
作者 정광균 (著)=Jung, Kwang-gyu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4 n.0
出版日期2015.06
頁次43 - 91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강사
關鍵詞영명연수=永明延壽=Yangming Yanshou; 일심진여=一心眞如=Single-minded jinyeo; 선교일치=禪敎一致=Meditation theoretical match; 이사원융=理事圓融=Nature phenomenon wonyung; 견성명심=見性明心; 일념성불=一念成佛=Mind of the one Fulfillment of Buddha; 진망교철=眞妄交徹=Cros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이사쌍수=理事雙修; 선정쌍수=禪淨雙修; 돈오원수=頓悟圓修; The flexible nature of the mind; Discover the mind and revealing the true nature; Practice with the phenomena and nature; Performing harmoniously realized at once
摘要연수(延壽, 904-975)는 법안종의 개창자인 법안문익(885-958)과 법안의 제자 천태덕소(天台德韶, 890-971)의 법을 이은 삼대조사다. 연수는 명주의 설두산(雪竇山)에서 전법하여 점차 주목받기 시작하여 새로 건립한 항주의 영은산(靈隱山)에 제1대 주지를 맡았고, 다음에 전당의 영명도량에서 제2대 주지를 담임하였으며, 문하의 제자도 대단히 많아서 2천명에 달하였다. 연수가 일생에 저작한 수많은 작품 가운데 그의 대표적인 진작(眞作)으로 일컬어지는 현존하는 저서는 『종경록(宗鏡錄)』 100권,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3권 또는 6권, 『유심결(唯心訣)』 1권, 『주심부(注心賦)』 4권, 『관심현추(觀心玄樞)』 1권, 『정혜상자가(定慧相資歌)』, 『신서안양부(神棲安養賦)』, 『수보살계법병서(受菩薩戒法幷序)』 등이다. 이러한 저작 가운데 그는 선종의 계통으로는 남종이다. 그는 주체적인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문자에 의존하지 언교 밖에 별도로 전하여 곧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 견성하고 성불하는 선종의 종지를 논술함과 동시에 기타 여러 종파의 심성이론(心性理論)과 수행방법을 상세하게 인용하여 양자의 원융을 입증하여 선교의 통합과 이사(理事)의 쌍수(雙修)를 달성하였다. 연수는 선법이론의 핵심으로 “이심위종(以心爲宗)”을 표방한다. 이것은 바로 마음으로써 존귀함을 삼고, 본체를 삼으며, 지혜의 작용을 삼은 것이다. 그 의미는 대승불교의 자성이 청정한 여래장청정심의 불성을 받들어 존중하여 표준으로 삼아 법계의 만물과 인류사회 및 중생의 번뇌와 생사와 해탈의 문제를 논구하고 결단한다. 선종의 심성으로써 중심을 삼아 대소승의 교법과 제종의 교의를 종합하여 귀결한 것이다. 연수는 수당시기에 성립한 종파 중에서 오직 화엄의 교리와 선종의 종지를 중시하여 일치한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화엄에서 말하는 하나의 진실인 진여의 마음 즉 법성의 법계연기와 이사원융(理事圓融)과 진망(眞妄)이 교철(交徹)하는 이론을 인용해서 불성이 세계의 본체이기에 번뇌와 보리, 해탈한 피안과 세속의 차안, 중생과 부처가 서로 용납하고 섭수하여 상즉불이(相卽不二)한 것임을 천명한다. 그는 또한 이러한 인증을 통해서 그의 이사쌍수(理事雙修)와 선교가 회통한 선과 염불의 쌍수를 삼은 이론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미 그렇게 이(理)와 사(事)가 서로 원융무애하다면 스스로 마음의 본성을 깨닫고 여러 가지 교법을 수지하는 것도 당연히 수행에 장애가 없기에 마음을 밝히고 본성을 봄으로써 종지를 삼은 선과 정토 기타 교문의 모든 종지도 응당 회통된다고 여겼다. 연수가 중시한 “명심(明心)”의 개념은 바로 명심(明心)과 더불어 견성(見性), 명종(明宗), 달성(達性)이다. 이는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모두 자성인 불성의 여래장자성청정심(如來藏自性淸淨心)을 체득하여 깨달으면 부처가 자기 마음에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선승들은 이행(理行)을 수지해야할 뿐만 아니라 또한 갖가지 사행(事行)도 수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시에 화엄종의 원융한 돈교사상(頓敎思想)을 발휘하여 일단 진여자성(眞如自性)을 깨닫는 것이 곧바로 마음을 깨달아 일체를 초탈한 조사를 이루고 일념에 부처를 이루는 ‘명심견성 일념성불(明心見性 一念成佛)’이라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연수는 또한 현실성에 착안하여 유심정토(唯心淨土)의 법성정토(法性淨土)에 도달함에도 역시 육도만행과 정토수행을 수지해서 깊고 얕은 계위를 경험하여 체득한다고 여겼다. 이것은 과거의 선종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던 그만의 독특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귀결이다.

Yanshou(904-975) was born into a family of Wang in Qiantang. He inherited the dharma lineage of Tiantai Deshao(890-971), the disciple of Wenyi who was the founder of Fayan Sect. Yanshou first spread dharma at Xyedou Shan, Ming Zhou and gradually became well-known. In 960, Qian Hongchu, the king of Wuyue State, appointed Yanshou to take the first abbocy of the newly-built monastery at Lingyin Shan, Hang zhou. Next year, the king also appointed him as the second abbot of the great monastery at Yongming Qiantang. His disciples once exceeded 2,000. He has written many books including the 100-fascicled Zonggyeongrok(宗鏡錄), the 3-fascicled Manseondonggwijib(萬善同歸集), the one-fascicled Yuximgyol(唯心訣), the 4-fascicled Zhuximbu(註心賦), and the one-fascicled Guanxim hyeonchu(觀心玄樞). In these books, on one hand he described systematically the essence of Seon Sect, i.e. “to transmit mind with mind and not to attach to words,” “to point directly at man’s mind and to see the mind-nature to become Buddha”; on the other hand, he took reference from other Buddhist sects to discuss the mind-nature theory and practice techniques in details. He suggested to integrate the two in order to link Seon and teachings as well as to practise principle and phenomenon at the same time. The theory of Yanshou's seon techniques claims “to regard mind as the principal,” i.e. to consider mind as “the superior,” “the substance,” and “the wisdom.” In other words, he exalted the Buddha-nature theory of Mahāyāna Buddhism as the standard to observe and explain everything of the world, the human society, the defilements, the birth-death and liberation problems of sentient beings; he took the mind-nature theory of Seon Sect as the center to comment the teachings of Mahāyāna and Hīnayāna Buddhism and the doctrine of different schools. According to Yanshou, among the Buddhist sects established in Sui and Tang Dynasties, only the doctrine of Huayan School accords most with Seon Sect. Through the reference to Huayan School's theories of suchness(the tathāgata mind, the dharma nature),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 realm, perfect integration of noumenon and phenomena, and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rue and the delusive,” he described that the Buddha nature is the re
目次I. 들어가는 말 46

II. 영명연수의 원융심성과 귀결점 48
1. 영명연수의 선종심성 48
1) 정토의 심성 49

2) 선종의 심성 50
2. 진망교철한 진여일심 52
1) 일심의 진망 52

2) 진망의 교철 61
3. 이사무애한 원융심성 64
1) 일심의 상즉 64

2) 원융한 심성 68
4. 원융심성의 귀결점 73
1) 견성과 명심 73

2) 일념의 성불 77
III. 나아가는 말 84
ISSN12291846 (P)
點閱次數38
建檔日期2023.03.30
更新日期2023.03.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95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