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法眼宗의 成立背景과 文益의 禪敎觀=The Study of Beopan School`s establishment and SeonGyoGwan
作者 정광균 (著)=Jung, Kwang-gyun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12 n.0 백용성스님과 보광사?도솔암의 사적 조명
出版日期2009
頁次295 - 337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關鍵詞法眼宗=Beopan School; 法眼文益=BeopanMunik; ZongmunSipgyuLon=『宗門十規論』; 禪教合一=Union of Seon and Doctrine
摘要法眼宗은 禪宗 중에 가장 늦게 성립한 宗派로 그것의 성립은 禪宗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에 대한 응답이었다. 이러한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하나는 외부적인 會昌廢佛이고, 다른 하나는 내부적 반성으로 그것은 禪敎對立의 극복과 禪宗內의 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다. 會昌廢佛로 인하여 禪宗이 五代에 점차 불교의 주류가 되었지만, 그동안 敎宗에서 담당했던 세속의 敎化를 담당해야 했다. 文益의 傳承 가운데 玄沙師備는 頭陀行을 실천하였는데, 淸淨한 修行을 중시함과 아울러 또한 근본을 포괄하는 참선의 모범[抱本參禪]이 되었지만 玄沙師備의 禪法과 臨濟係의 禪法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文益은 羅漢桂琛의 처소에서 玄沙師備에 대한 선법의 특색을 파악함과 아울러 새로운 규범을 세운다. 그의 저술인 『宗門十規論』에서 文益의 선법 가운데 시대적인 반성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禪敎融合 또는 合一의 사상으로 명백히 말하자면 진실로 經敎를 논하지 못하면 識情을 파하기 어려워져 결국엔 예전처럼 왜곡되어 윤회에 빠져들어 간다고 하였다.   『十規論』의 논술형식은 생각보다 편파적이었던 般若의 반성을 촉구하는 『十規論』은 사실 열편의 반성하는 문장으로 그 중에 한 논마다 균등하게 먼저 禪宗의 宗旨를 제시한 후에 당시 禪宗의 시류적인 폐단을 분석한다. 文益은 禪宗이 발전해온 宗風이 같지 않아 각기 그 장점과 각종파간의 차이가 있지만 같은 禪宗의 血脈에 속한 차이는 전혀 장애가 없다고 여겼다. 文益은 반야를 배우는 사람을 參學者로 일컬어 사용한 것은 바로 주의할 가치가 있는 용례로 더구나 『十規論』을 저술한 체제는 또한 華嚴宗의 용례를 참고하여 禪의 本義로 회귀하였다.

Beopan School(法眼宗) is the latest Seon school(禪宗) that emerged in response to the new challenges facing Seon Buddhism. This causes two main factors, one external Hoechangpyebul(会昌废佛), and the other one on the internal reflection, it has overcome the hostility of Seon(禅) and Doctrine(敎), Seon school is to end the internal conflict. Hoechangpyebul due to in Buddhism and became gradually secularized at the same time. Among the lineage masters of the BeopanMunik, HyeonsaXabi(玄沙師備) put great emphasis on ascetic dhuta practices(頭陀行) and practice of austerities, and was a prime example of meditation with Dharma texts in embrace(抱本參禪).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his Seon methods and those of the Rinzai school. Munik inherited HyeonsaXabi's unique Seon lineage through the Nahan Gyechim(羅漢桂琛), and established a new model on this basis. Among the Seon treatises of Munik‘s ZongmunSipgyuLon(『宗門十規論』) probably provides the best reflections on the spirit of the times. Its "union of Seon and Doctrine" concept makes it clear: "If one has not studied the doctrine and commentaries, it will be difficult to see through the emotions," and when the time comes, one will still have to "fall into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The arguments contained in the ten chapters of SipgyuLon can well reflect a critique of prajñā. Each of the chapters begin with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Seon school and then goes on to analyze the failings of the contemporary Seon schools. The treatise puts forth the view that the different styles of the various Seon schools have their own merits, and do not negate the reality that they all belong to the Seon lineage(血脈). The treatise's use of the term “Prajñā Student(般若學人)” to describe practitioners is especially note worthy. In its usage, note the usage of the system is written by hwaeomjong(華嚴宗), it will return to the original meaning of Seon.
目次I. 序論 296

II. 法眼宗의 成立背景과 文益의 禪敎觀 297
1. 法眼宗의 外的背景 297
2. 法眼宗의 內的背景 301
3. 法眼文益의 禪敎血脈 313
4. 法眼文益의 禪敎思想 319
5. 法眼文益의 禪敎合一 326
III. 結論 330
ISSN12291080 (P)
點閱次數43
建檔日期2023.04.29
更新日期2023.04.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985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