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북한지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의=Buddhist temples in Nor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to Buddhism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17 n.0 호국불교의 재조명
出版日期2012.06
頁次133 - 168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關鍵詞Yongmyongsa=永明寺; Chongrungsa=定陵寺; Kwangjosa=廣照寺; Kaesima=開心寺; Sogwangsa=釋王寺; Yujomsa=楡岾寺; Pohyonsa=普賢寺; 成佛寺; 裨補寺刹; 眞殿寺院
摘要본 논문은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북한지역의 사찰의 역사적 중요성을 다룬 연구이다. 북한지역내 고구려 사찰은 평양천도 이후의 것이 대부분인데 고구려 건국자 동명성왕과 관련된 광법사, 영명사, 중흥사, 정릉사 등의 사찰이 중요시 되었다. 신라하대 수미산문의 해주 광조사는 최북단 9산 선문 가운데 하나였으며, 선종의 북한지역의 확대 포교였다. 북한지역내 발해지역의 개심사 등의 사찰은 남북국시대의 불교도량이라고 하겠다. 고려시대 국도 개경의 중요사찰은 태조가 창건한 법왕사․왕륜사 등의 10대 사찰이다. 역대 왕실에서 운용했던 봉은사․불일사 등 진전사원 그리고 불교계가 운용했던 고려시대 주요종파의 본산 사찰도 중요하다. 즉, 고려불교의 12종파의 본산 산문중심 불교가 개경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더불어 서경인 평양 중흥사와 보현사 등과 해주의 신광사, 안변의 보현사 등과 국방 지역인 양계지방의 사찰이 국가 비보적인 측면에서 강화 운용되었다. 조선시대 선교 양종 36사 가운데 북한지역 본산제하의 사찰은 유후사의 선종의 연복사와 교종의 광명사 등이 운용되었으며, 개성의 관음굴과 감로사, 평양의 영명사, 안변의 석왕사를 비롯하여 남한지역과 마찬가지로 왕실원당, 개경 국도 중요사찰, 수륙사 등이 주요 대읍에 선정 운용되었다. 조선후기 4대 총섭제 가운데 석왕사가 운용되었으며, 1902년 中法山 제도를 운용했는데, 유점사 석왕사, 귀주사, 보현사, 신광사였다. 이는 일제 강점기 본산제의 틀이 되었으며, 일제의 31본산제 가운데 북한지역에 8개 본산제가 실시되었다. 대개 금강산과 묘향산, 국조 단군과 왕실관련 사찰들이었으며, 총 403곳의 사찰을 관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Buddhist temples in North Korea ranging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During the Goguryeo Dynasty, the kingdom's capital was transferred to Pyeongyang and most temples from the Goguryeo Dynasty were built after this event. Temples such as, Yongmyongsa and Chongrungsa date back to this time and both have relations to Ju-mong, the founder of Goguryeo. Among the "Nine Mountain Monasteries," Kwangjosa of the late Shilla Dynasty, located in Mount Sumi of Haeju, is the northernmost sited. Temples, such as, Kaesima was founded under Palhae Kingdom. Wang Geon, the founder and the great emperor of the Goryeo Dynasty, established BeobWang-Sa, WangRyun-Sa, etc. which have become the top 10 Buddhist Temples. Bongeunsa and Bulilsa are memorial temples that were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ies. Head temples of denominations mainly operated in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geographical reasons, Chunghungsa, Pohyonsa, and Singwangsa in Haeju were strengthened for national defense. Among the 36 Zen and Non-zen Buddhist temples of the Chosun Dynasty, Yeon-Bok Sa (zen) and Gwangmyeongsa (non-zen) served as government offices. Moreover, Gwaneum cave and Gamrosa in Kaesong, Yongmyongsa in Pyongyang, and Sogwangsa in Anbyŏn, all acted as the royal and main temples of Gaegeyong, and Suryuksa of South Korea. In the late Choson period, Sogwangsa served as one of the four main temples supporting the emperor. In 1902, Yujomsa, Sogwangsa, Kwijusa, Pohyonsa, Singwangsa belonged to the 16 provincial temples. Later, 31 head temple system emerg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and among them 8 were main temples. Total of 403 temples were operated where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Mount Kumgang and Mount Myohyang and served as temples for Dangun or the royal families.
目次머리말 135

I. 고구려와 발해 사찰 137

II. 고려 진전사원과 비보사찰 146
III.조선 양종 본산제 사찰 153
IV. 근대 31본산제 사찰 159
맺음말 161
ISSN12291080 (P)
點閱次數29
建檔日期2023.04.30
更新日期2023.04.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989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