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계 고승과 국도 천도 - 고려 및 조선의 국도를 중심으로=Prominent Buddhist Priests and the Moving of the National Capital City - Focusing on the capital cities of Goryeo and Joseon Dynasties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18 n.0 용성스님의 『한글화엄경』과 화엄사
出版日期2012.12
頁次255 - 281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서울) 역사교육과.
關鍵詞Doseon=道詵=도선; Euicheon=義天=의천; Myocheong=妙淸=묘청; Bou=普愚=보우; Shindon=辛旽=신돈; Muhak=無學=무학
摘要본 논문은 한국의 불교 고승의 국도 奠都 및 遷都의 의의를 천착한 연구이다. 신왕조의 창업 후 그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고승의 참여는 나라의 심장부인 국도 전도나 국가적 위기 속에 행하여진 국도 천도는 불교 고승으로서 민중을 제도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도선은 삼한을 통일할 왕건이 태어날 것을 예언하고 개성을 국도로 지목하였다. 그의 가르침을 받은 왕건은 불교의 가르침대로 국가를 운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사찰을 창건 또는 지정하였다. 도선의 제자 여철은 남경일대에서 활동하면서 오늘날 서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문종의 넷째 아들 의천도 당시 보수화된 정치와 불교계에 혁신을 일으키기 위하여 천태종을 개창하고 주전론을 주창하면서 남경천도 주장에 참여한 듯하다. 묘청은 事大가 아닌 事佛, 즉 진리를 섬겼기 때문에 地氣가 쇠했던 개경에서 고구려의 오랜 수도였던 평양으로 천도할 것을 주장했다. 그리하면 주변의 36개국이 조공을 바치는 황제의 나라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 후 몽고침략기에도 한양으로 국도를 삼게 되면 나라의 수명이 800년 연장될 것이라는 아사달 신앙이 유행하였다. 공민왕의 왕사 태고보우는 원나라에서 귀국후 삼각산 중흥사와 태고암에 머물면서 한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바로 한양천도 주장이다. 신돈은 전민변정의 개혁을 하면서 근본적인 방도인 서경과 충주 천도를 주장하여 민중으로부터는 성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조선 건국직후 무학은 왕사로 책봉되어 한양전도에 큰 역할을 하였다. 곧 한성을 비보하는 4대 사찰을 비롯하여 불교계의 재편사업을 전개하면서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issue of the transfer or move of the national capital among prominent Buddhist priests in Korea. The participation of priests who took on leading roles after establishing a new dynasty in moving the national capital was a way to guide people under the national crisis. Priest Doseon predicted that Wanggeon, who unified the Three Hans and pointed to Gaeseong as the capital city. Wanggeon, who was taught by priest Doseon, ruled the country with Buddhist principles and specifically established or designated certain temples. Yeocheol, a discipline of Doseon, acted around Namgyeong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 Seoul. Euicheon, the fourth son of King Munjong, established Cheontae to innovate the conservative political and Buddhist sectors and may have participated in the moving of the southern capital while protesting for the Jujeon theory. Priest Myocheong served the truth, implying Buddha rather than the great, and protested that the national capital should move from Gaegyeong, which had weak spirit, to Pyongyang, an old capital of Goguryeo. He predicted that Goryeo would be a country of the emperor; it received official tributes from the neighboring 36 countries. Then, during the period of Mongolian occupation, the Asadal faith, which proclaimed that the nation will extend an additional 800 years if Hanyang became the capital city, gained popularity. Taegobou, a royal teacher of King Gongmin, stressed the importance of Hanyang while staying at the Jungheungsa temple and Taegoam after he returned from Yuan. There was a claim to move the national capital to Hanyang. Priest Shindon was referred to as the Saint from the public by protesting that the national capital should move to Seogyeong and Chungju, a fundamental policy while performing the reform of Jeonmin Byeongjeong (Reclassification of Farmland and the Farming Population). Priest Muhak was nominated as the royal teacher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moving the capital city to Hanyang right after establishing Joseon. Then, he led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renovation, including the renovation of 4 major temples that supported Hanseong.
目次들어가는 말 257

I. 신라말기 道詵과 開京의 奠都 지정 258
II. 고려중기 義天과 妙淸의 遷都 주창 263
III. 고려말기 普愚와 辛旽의 遷都 주창 266
IV. 조선초기 無學과 漢陽의 奠都 지정 271
나가는 말 274
ISSN12291080 (P)
點閱次數32
建檔日期2023.04.30
更新日期2023.04.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990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