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전근대 봉녕사의 역사 검토와 화령전 원찰=Historical Review on the Bongnyeongsa and the Memorial Temple in Hwaryeongjeon in the Premodern Era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20 n.0 해인사의 고승, 용성스님과 고암스님
出版日期2013.12
頁次253 - 289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서울) 역사교육학과 교수.
關鍵詞봉녕사=Bongnyeongsa; 봉덕사=Seongchangsa=Changseongsa; 성창사=Seongchangsa=Changseongsa; 화령전=Hwaryeongjeon; 창성사; 화성; 정조=King Jeongjo; Bongdeogsa
摘要본고는 수원 봉녕사의 전근대 역사를 검토한 것이다. 봉녕사의 전근대의 역사는 역사적 사실로 간주할 만한 관련 기록이 거의 없다. 봉녕사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성창사 혹은 창성사가 봉녕사의 전신인가 이다. 현존하고 있는 창성사 터와 현재 봉녕사와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성창사는 이를 뒷받침해 줄만한 관련 기록이나 야사 및 설화조차 전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 후 조선초에 봉덕사로 불리다가 남양주 운악사가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에 의해 세조의 능침사찰로 지정되면서 봉선사라고 하였던 같은 해인 1469년(예종 1) 세조의 삼화상인 혜각존자 신미가 중수하여 세조의 원찰로 삼았을 개연성이 없지 않다. 봉덕사는 鳳德山 奉德寺라고도 불렸으며, 대부분, 특히 조선시대의 ‘奉○寺’라는 사찰의 사례에서 보듯이 왕실과 관련이 깊은 사찰이었던 듯하다. 그 후 봉덕사가 역사의 전면에 크게 부각되는 것은 1800년대 초 순조대 이후이다. 즉, 봉녕사의 사중에 전하고 있는 상량문에 의하면, 순조가 아버지 정조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어진을 봉안할 華靈殿을 짓고 그 원찰로 중창하고 ‘奉寧’라는 사액을 내림으로써 봉녕사라고 불리게 되었다. 화령전의 관리는 수원부 유수가 담당하게 하였는데 화령전의 원찰인 봉녕사도 관리 또는 후원하였을 것이다. 이는 수원유수였던 김병교가 봉녕사의 중수를 후원하였던 사실이나 화성을 감독하였던 박윤묵이 봉녕사 시를 남긴데서 알 수 있다. 순조가 자주 화령전에 제향을 올렸으므로 그 때 마다 원찰인 봉녕사에서도 역시 정조에 대한 추복불사가 있었을 것이다. 그 후 봉녕사의 탱화의 화기에서 볼 수 있듯이 봉녕사는 고종과 민비, 그의 아들 순조를 추복하는 등 왕실원찰이었다.

The paper reviews the premodern history of Bongnyeongsa in Suwon. There is almost no record of the premodern history of Bongnyeongsa as historical facts. The most important issue here is that whether Seongchangsa or Changseongsa is the origin of Bongnyeongsa. The existing site of Changseongsa and the current location of Bongnyeongsa is too far and Changseongsa has no historical ground anecdote or legend to support the hypothesis. Then, the temple was called Bongdeogsa in early Joseon Dynasty and it may be possible to designate the temple as the memorial temple for King Sejo by Buddhist priest Shinmi of the king in 1469 (1st year of King Yejong), the same year when the Unmaksa in Namyangju was desigated as a royal tomb temple for King Sejo by his wife Queen Jeonghee. Bongdeogsa was called Taedeogsa in the Bongdeog Mountain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temple i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ke most of the temples with the name of 'Taesa' in Joseon Dynasty. Then, it was the early 1800 or early period of King Sunjo that Bongdeogsa was emerged on the front stage of the history. The deliberation document stored in Bongnyeongsa states thatKing Sunjo built Hwaryeongjeon to commemorate the filial love of his father, King Jeongjo, designate the temple as the memorial temple and delivered the name 'Bongnyeong', causing to call the temple as Bongnyeongsa. The Suwon governor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Hwaryeongjeon and it may be suggested that Bongnyeongsa or the memorial temple of Hwaryeongjeon was managed or supported.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Suwon governor Byeonggyo Kim supported Bongnyeongsa or Yunmuk Park who supervised Hwaseong left a poem for Bongnyeongsa. King Sunjo frequently held memorial services to Hwaryeongjeon and it would be said that the memorial temple of Bongnyeongsa also held Buddhist services for his father King Jeongjo. As shown in the altar portraits of Bongnyeongsa, Bongnyeongsa is the memorial temple for the royal family to pray King Gojong, wife Queen Minbi and and their son, King Sunjong.
目次I. 들어가는 말 255
II. 고⋅중세 奉寧寺의 역사 검토 256

1. 봉녕사의 주요연혁과 彰聖寺 256

2. 봉녕사의 전신 聖彰寺와 奉德庵 263
III. 조선말 華寧殿의 원찰 奉寧寺 272

1. 정조의 眞殿 화령전과 봉녕사 사액 272
2. 철종.고종대 봉녕사 중창 280
IV. 나오는 말 283
ISSN12291080 (P)
點閱次數102
建檔日期2023.05.09
更新日期2023.05.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043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