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峰庵 邊月周의 生涯와 思想=Bongam Byeon Wol-ju's Life and Thought
作者 이수창 (著)=Lee, Soo-chang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22 n.0 백용성스님 전법의 재발굴
出版日期2014.12
頁次121 - 169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경주) 불교문화대학 겸임교수.
關鍵詞광주학생독립운동=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光州高普=Gwangju Advanced Elementary School; 同盟休學=united student strike; 傳法偈=jeonbeop-ge=poetic verses transmitting the truth; 數息觀=ānāpānasati; 無相行=musanghaeng; 四攝法=the four beneficences=cattāri sangaha-vatthūni; 宗祖論=the founder theory; 修行論=practice theory; 敎化論=reforming through teaching theory
摘要峰庵 邊月周(1909-1975)는 1909년 11월 13일 全南 長城郡 長城面 長安里 337번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본의 식민치하에서 어렵게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의 부친이 3․1독립운동에 가담하여 獄苦를 겪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光州高普 4학년 때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광주고보에서 퇴학당하고 옥고를 치렀다. 그는 광주고보에서 퇴학당하고 나서 長城 白羊寺에 몸을 의탁해 있다가 1930년(22세) 사미계와 구족계를 받았다. 또한 그는 28세 때인 1936년 白龍城으로부터 傳法偈를 받았다. 그는 출가 후 陳震應 강백으로부터 一代時敎를 배웠다. 그런 다음 禪院에서 십년 이상 수행했다. 그 결과 禪과 敎를 겸비한 宗匠이 되었다. 그 후 그는 비구·대처간의 종권 다툼이 있기 전까지 주로 해인사에 주석하면서 교화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1955년 이후에는 해인사에서 설립한 海印大學(1961년 馬山大學으로 교명변경)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오직 후학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1975년 2월 4일 진해 대광사에서 入寂했다. 한편 봉암의 사상은 그의 實踐觀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그의 修行觀은 각자의 根機에 따라 수행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느 한 가지 수행법만을 고집하지 않았다. 마치 병의 증상에 따라 약을 처방하듯이 근기에 맞는 수행법을 권장했다. 또한 그는 계율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戒律觀을 갖고 있었다. 또한 그의 敎化觀은 중생의 근기에 따라 법을 설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남을 교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역량을 비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峰庵의 法統觀은 자기의 정체성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변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리고 法統은 臨濟宗法일지라도 宗祖는 太古普愚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峰庵의 政治觀은 정치와 종교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政敎分離의 원칙을 고수했다. 그는 승려가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극히 경계했다. 봉암의 社會觀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는 자신의 깨달음에만 만족해서는 안 되며, 이웃을 위해 四攝法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을 ‘無相行’이라고 표현했다. 이렇듯 봉암의 일생은 수행과 교화에 전념한 삶이었다. 그리고 그의 사상도 수행과 교화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앎과 실천이 일치했던 근래에 보기 드문 先覺者였다.

Bongam Byeon Wol-ju(峰庵 邊月周: 1909-1975) was born at 337 Jangan-ri, Jangseong-myeon, Jangseong-gun, Jeollanam-do on November 13, 1909. He went through hardship in his childhoo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cause his father languished in jail for his joining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He was also put in prison after being expelled from school for the charge of leading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hen he was a fourth-grade student at Gwangju Advanced Elementary School. Since then, he stayed at Baekyang-sa Temple, Jangseong and received both sāmaṇera-sīla and upasampadā at the age of 22 in 1930. In addition, he received jeonbeop-ge(傳法偈, poetic verses transmitting the truth) from Baek Yong-seong(白龍城) in 1936 when he was 28 years old. After he abandoned secular life, he learned ildaesigyo(一代時敎, all teachings of the Buddha from Instructor Jin Jin-eung(陳震應). And he practiced for over ten years at a meditation hall. As a result, he became a master of both Zen meditation and the doctrinal teaching. He dwelled and preached at Haein-sa Temple until the conflict for the power of the Buddhist Order between bhikkus and married Buddhist monks broke out. After the year of 1955, he devoted himself to teaching disciples as a professor of Haein College(its name was changed into Masan College in 1961) established by Haein-sa Temple. He entered nirvāṇa in Daegwang-sa, Jinhae on February 4, 1975. Bongam's thought can be examined through his view of practice. He insisted that every individual should practice according to their own readiness(根機). He didn't adhere to only one way of practice, but recommended different ways of practice depending on their own readiness as doctors prescribe proper medicine by considering patients' symptom. Furthermore, he thought that sīla-vinaya should be observed. He also emphasized that Buddhist monks must preach according to people's readiness. In order to teach others, monks should build up their capabilities first, he said. Bongam took an unchanging stand for the dhamma tradition as it was related to our identity. And he insisted that even though the dhamma tradition was imjejongbeop(臨濟宗法), the founder should be Taegobowu(太古普愚). He sticked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state and church. So, he sternly warned Buddhist monks not to be involved in politics. Bongam's social stance was based on reality. He asserted that we should not be complacent with our enlightenment and should implement the four beneficences(cattāri sangaha-vatthūni, 四攝法) for our neighborhood. He described it as 'musanghaeng(無相行)'. As we have seen, Bongam's life was dedicated to practice and teaching. And his thought didn't diverge from the category of reforming through teaching. He was a rare religious pioneer as his practice was in agreement with his knowledge.
目次I. 머리말 124

II. 峰庵 邊月周의 生涯 125
1. 出生과 成長 125
2. 修行과 敎育 130
3. 位相과 活動 134
III. 峰庵 邊月周의 思想 139
1. 修行敎化思想 139
2. 宗統法統思想 147

3. 政治社會思想 150
IV. 맺음말 156
ISSN12291080 (P)
點閱次數54
建檔日期2023.05.14
更新日期2023.05.1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069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