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용성진종의 「總論禪病章」에 나타난 십종병 고찰=A view about ten malfunctions in Chongronseonbyungjang(總論禪病章) by Yongsung-Jinjong(龍城震鍾)
作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32 n.0 월산 대종사의 생애와 삶
出版日期2019.12
頁次221 - 245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교수.
關鍵詞십종병=ten malfunctions; 총론선병장=Chongronseonbyungjang; 간화결의론= Ganwhagyeoluiron; 구자무불성화간병론= Gujamubulsunghwaganbyeongron; 선가귀감= Seongaguigam; 무자간병론= Mujaganbyeongrongwahae; Wuzihuatou
摘要간화선에서 대표적으로 참구되고 있는 무자화두에 대하여 그 주의사항이 대혜로부터 널리 제기되어 왔다. 이것이 이후에 무자화두의 십종병이라는 용어로 정립되어 온 근원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대혜가 무자화두를 참구하는 데 있어서 잘못된 견해라고 보고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제시한 여덟 가지 또는 열 가지를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지눌은 『간화결의론』을 통해서 처음으로 십종병이라는 용어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진각혜심은 「구자무불성화간병론」을 저술하여 십종병의 낱낱 항목에 대하여 간별하였다. 이것은 태고보우를 거쳐서 청허휴정도 『선가귀감』에서 십종병을 계승하였다. 백파긍선은 혜심의 「구자무불성화간병론」에 과해를 한 「무자간병론과해」에서 해설을 붙이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처럼 지눌에게서 정형화된 십종병은 내용을 비롯하여 명칭과 순서에 약간의 변화는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대동소이하였다. 이와 같은 십종병의 전승에 대하여 「총론선병장」을 통하여 용성진종은 기존의 십종병에 대하여 세 가지 점에서 차별되는 견해를 보여주었다. 첫째, 간화선의 수행에서 무자화두를 참구하는데 있어서 잘못된 십종의 병통에 대하여 그 근본을 知解에다 두고, 그 지해로부터 발생하는 경우를 십종병으로 간주하였다. 둘째, 십종병의 열 가지 명칭에 論字를 붙여서 참구하는 납자가 분별의식과 분별사상으로 논하려는 것이 곧 병통임을 진단하였다. 셋째, 십종병 가운데 와 의 명칭에 대하여 각각 論無心病과 論平常病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The core of discipline in Khanwha-seon depends on the method of meditating on one’s whadu without a break and pause. When zen-practician misapprehend about the equipment and forget the basic principle of practice, the malfunctions arise. The origin of indirect of Wuzihuatou(無字話頭) is Zhaozhou-Congshen(趙州從諗). But direct of Wuzihuatou from the seon master Wuzu-fayan(五祖法演). And the original form of malfunctions about Wuzihuatou suggested by Dahui-Jonggao(大慧宗杲). He had presented eight items of malfunctions of Wuzihuatou practice through his analects. After that time, Bojo-Jinul(普照知訥) performed the ten malfunctions of Wuzihuatou practice through his work, that is, Ganwhagyeoluiron(看話決疑論). He mentioned the ten items about malfunctions for the first time. Thereafter, Jingak-Hyesim(眞覺慧諶) had plenty of notes about the ten malfunctions through his work, i.e. Gujamubulsunghwaganbyeongron(狗子無佛性話揀病論). And, Cheongheo-Huejung(淸虛休靜) accepted the views and the ten terms of Jingak-Hyesim in Seongaguigam(禪家龜鑑). In the meantime, Bakpa-geungsun(白坡亙璇) had note and divided into four parts or two parts in his work, i.e. Mujaganbyeongrongwahae(無字揀病論科解). On the other had, Yongsung-Jinjong(龍城眞宗) had set forth his views of the ten malfunctions in Chongronseonbyungjang(總論禪病章). We can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en malfunctions are three point. First, Yongsung-Jinjong grasped the point about its origin of the ten malfunctions are knowledges and discriminations. Second, Yongsung-Jinjong made an additional comment, so called, arguement(論) on the ten malfunction items each other. Third, Yongsung-Jinjong replaced the item not a thing(眞無) and the item profound reason(玄妙道里) with absence of the worldly desires(無心) and normal conditions(平常) each other.
目次I. 서언 223
II. 무자화두 십종병의 전개 224
III. 「총론선병장」의 구조와 이해 229

IV. 용성십종병의명칭및그특징 235
V. 결어 241
ISSN12291080 (P)
點閱次數46
建檔日期2023.05.28
更新日期2023.05.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170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