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일생패궐(一生敗闕)」에서 확인되는 한암(漢岩)의 오도(悟道)와 내용=A Study on Hanam(漢岩)’s Odo(悟道) and its Contents Identified in 「Ilsaeng Paegwol(一生敗闕)」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37 n.0 구하의 독립운동과 현실인식
出版日期2022.06
頁次177 - 214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 교수.
關鍵詞경허=Gyeongheo=鏡虛; 우두암=Wuduam=牛頭庵; 지눌=Jinul=知訥; 오도송=Odosong=悟道頌; 무자화두=Muja Whadu=無字話頭; 깨달음=enlightenment; 수도암=Sudoam=修道庵; 확철대오=廓撤大悟=Gwakcheol Dae-o; 금강산=Geumgangsan=金剛山
摘要「일생패궐」은 한암이 24세 때인 1899년 7월부터 37세가 되는 1912년 봄에 걸쳐 총 13년의 구도(求道) 과정을 적은 자전적인 기록이다. 내용은 지눌(知訥)의 영향과 스승인 경허(鏡虛)와의 인연 및 총 3차례에 걸친 깨달음[開悟]으로 한암이 깨달음은 과정과 내용을 이해하는 중요한 문건이다. 본 고의 제Ⅱ장에서는 한암이 신계사(神溪寺)의 보운강회(普雲講會)를 떠나는 24세 때, 3년 과정인 사교반(四敎班)이었을 것이라는 점. 또 교학에서 선불교로의 전환에 병약에 따른 건강 문제도 작용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눌의 영향으로 인해, 후일 경허에게 가르침을 받지만 『깨달은 이후에는 경허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제Ⅲ장에서는 청암사(靑巖寺) 수도암(修道庵)에서 한암이 경허에 의해 깨닫게 되는 1차 개오(開悟)가 해오(解悟)라는 점. 그리고 이것이 3차 개오인 증오(證悟)로 연결된다는 내용의 의미를 분명히 했다. 또 경허가 한암에게 무자화두(無字話頭)를 권하는 과정에서, 유교를 넘어서는 불교의 관점이 드러나는 점을 명확히 했다. 끝으로 제Ⅳ장에서는 경허의 한암에 대한 인정이 완전한 인가(印可)는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한암의 2차 개오와 관련된 전적이 『전등록』이 아닌 『조당집』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불위(不爲)와 무위(無爲)의 차이점을 드러냈다. 그리고 한암의 3차 개오는 홀로 깨친 것이지만, 한암의 관정에 따르면 이 역시 경허의 가르침에 입각한 증오 구조임을 밝혔다. 이상을 통해서, 한암과 경허의 관계가 보다 분명해지며 한암의 깨달음의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한암의 생애와 사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측면이다.

The 「Ilsaeng Paegwol(一生敗闕)」 is Hanam’s autobiographical record for 13 years of his truth inquiry from July 1899, when he was 24 years old, to the spring of 1912, when he became 37. this book is an important document showing the process that Hanam realized the truth through 3 times of Gaeo(開悟: enlightenment) along with the influence of Jinul(知訥) and the relationship with his teacher Gyeongheo(鏡虛). In Chapter II of this paper, it is clarified that Hanam was 24 year-old student in Sagyoban(四敎班: Four Religion Class) of 3rd year when he left the Bowunganghoe(普雲講會) of Singyesa(神溪寺) Temple; that he transferred from Gyohak(敎學) to Zen Buddhism(禪佛敎) because of his health problems; that, because of Jinul's influence, he was later taught by Gyeongheo, but after enlightenment, he came to have a different status from his. In Chapter Ⅲ, it is explained that Hanam’s first gae-o(開悟, enlightenment) was the Hae-o(解悟, understanding) which Hanam acquired through Gyeongheo and led to the Jeung-o(證悟) or his third gaeo; that the viewpoint of Buddhism beyond Confucianism was revealed in the process where Gyeongheo recommended Hanam to practice Muja Whadu(無字話頭, dialogue without words). Finally, in Chapter IV, it is clarified that Gyeongheo's recognition of Hanam was not a complete permission(印可); that the book related to Hanam's second gae-o could be 『Jodangjip(祖堂集)』, rather than 『Jeondeungnok (傳燈錄)』, revealing the difference between Bulwui(不爲) and Muwui(無爲). In addition, it also shows that Hanam's third gae-o was not achieved by himself but, according to Hanam's confession, was also a Jeung-o(證悟) structure based on the teachings of Gyeongheo. Through the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am and Gyeongheo becomes clearer and the meaning of Hanam’s enlightenment can be clarified. This is an essential aspect in understanding Hanam's life and thoughts.
目次I. 서론 179

II. 선불교로의 전환과 지눌(知訥) 181

III. 수도암(修道庵)의 1차 개오(開悟)와 경허(鏡虛) 189
IV. 2차 개오와 3차 개오에 대한 검토 197
IV. 결론 207
ISSN12291080 (P)
點閱次數41
建檔日期2023.05.28
更新日期2023.05.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175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