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함경북도의 재가승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Upāsaka Monks of Korean Buddhism with a Focus on Hamgyeongbuk-do Province
作者 이수창 (著)=Lee, Soo-chang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38 n.0 근대 불교문화의 다양성
出版日期2022.12
頁次47 - 77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팔리문헌연구소 소장.
關鍵詞고려도경=高麗圖經=Goryeo Dogyeong; 재가승=在家僧=Lay monks; 우바새승=優婆塞僧=Upāsaka monks; 취처육식=娶妻肉食=Married and meat diet; 밀교=密敎=Esotericism; 다라니=陀羅尼=dhāraṇi; 여진족=女眞族=Jurchen
摘要본 고는 한반도에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하였던 재가승(在家僧)들이 어떤 역사적 ‧ 사상적 배경에서 출현하게 되었는가에 대해 불교교단사(佛敎敎團史)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문헌상에 나타나는 한국불교의 재가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일연(一然)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이다. 그 밖에 『고려사(高麗史)』와 송(宋)의 사신 서긍(徐兢, 1091~1153)이 지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과 조선 후기 조정의 관리나 유자(儒者)들의 저술에 단편적으로나마 북방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던 재가승에 관해 언급한 부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기록들은 대부분 흥미 위주로 여진유민(女眞遺民)으로 추정되는 재가승들이 북방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면서 ‘취처육식(娶妻肉食)’을 한다는 사실을 크게 부각(浮刻)시켜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할 뿐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이마니시 류(今西龍)를 비롯하여 함경북도 사회과에서 관내에 거주하고 있던 재가승의 현황과 실태에 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조사 보고서도 조선 후기 조정의 관리나 유생들의 기록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들의 주된 관심사는 ‘재가승의 유래’에 관한 것이고, ‘재가승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는 찾아볼 수 없다. 그들은 재가승들이 온갖 사회적 멸시와 핍박에도 불구하고 불교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고 혈육을 통해 대대로 법맥(法脈)을 계승하였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국내 불교학계에서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국불교의 재가승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고는 북방 변경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던 재가승에 관한 최초의 학문적 시론에 불과하다. 본 고를 계기로 한국불교의 재가승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emergence of Upāsaka or lay monks, who have already existe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Buddhist Saṅgha. The first record of Korean lay monks in literature is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compiled by the Buddhist monk Il Yeon. On top of that, fragmentary comments on the lay monks collectively residing in the northern region appear in Goryeosa (History of Goryeo: 高麗史), Seonhwa Bongsa Goryeo Dogyeong (宣和奉使高麗圖經) written by Seogeung (徐兢, 1091-1153), an envoy of the Song dynasty of China, and wri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urtiers and Confucians. However, most of these records, for the sake of arousing interest to draw worldly people’s attention,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lay monks, presumably displaced Jurchen people, lived in groups in the northern area and ‘married and meat diet (娶妻肉食)'.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ocial services department of North Hamgyeong Province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lay monks including Imanishi Ryu (今西龍) living within the jurisdiction. However, their investigation repor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officials and Confucian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 ‘origin of the lay monks' and any discussion about the ‘identity of the lay monks' has not been found. They overlooked the positive aspect that the lay monks did not give up their belief in Buddhism despite all sorts of social contempt and persecution and inherited the Dharma Lineage (法脈) through their own flesh and bloo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in Kore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Upāsaka monks of Korean Buddhism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his paper is only the first academic work on the Upāsaka monks of Korean Buddhism. Starting with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full-scale studies on the lay monks in Korean Buddhism will be conducted.
目次I. 머리말 49
II. 고려 ‧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재가승 52
III. 일제강점기 재가승에 관한 조사 61

IV. 재가승 출현의 사상적 배경 66

V. 맺음말 72
ISSN12291080 (P)
點閱次數49
建檔日期2023.05.29
更新日期2023.05.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175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