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한암(漢巖)의 통도사 인연과 석담유성(石潭有性)=The relationship of Hanam with the Tongdosa Temple and Seokdamyuseong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50 n.0
出版日期2022.04
頁次221 - 245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조교수.
關鍵詞九河天輔; 상원사; 海蓮英喆; 鏡峰靖錫; 「일생패궐」; 경허성우; 내원암
摘要한암에게는 1898년 출가할 때 恩師로 모신 錦月幸凜과 1904년 통도사에서 法師로 모시는 석담유성이라는 공식적인 두 스승이 있다. 이외에 1899년부터 1903년까지 가르침을 받은 鏡虛惺牛가 존재한다. 이 중 한암이 가장 존경한 스승은 경허이다. 이는 한암이 경허와의 관계를 드러내고 깨달음의 계통을 분명하게 정립하기 위해서, 1912년에 「一生敗闕」을 찬술하는 것을 통해서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암의 공식적인 스승은 幸凜과 石潭이며, 이 중 보다 중요한 것은 석담이다. 한암은 석담과 만 6년이나 통도사 內院庵에서 생활한다. 이런 점에서 한암과 석담의 관계 및 이의 변화를 정리하는 것은 한암의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된다. 본고는 기존의 한암과 석담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관계 및 변화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한암과 석담의 관계가, 경허와 헤어진 뒤에 맺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석담을 경시하고 경허에 경도되는 이유를 추론했다. 또 한암과 석담의 관계는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완화되어 갔음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내원암 기간의 긍정성에 대해서도 정리하고, 한암과 경봉의 관계는 맏상좌인 吳海蓮보다도 더 중요했음 역시 분명히 하였다.

Hanam(漢巖) has two official teachers: Geumwolhaengneum(錦月幸凜), who taught him when he left home in 1898, and Seokdamyuseong(石潭有性), who taught him in Tongdosa Temple in 1904. In addition, he was taught by Gyeongheoseongwu(鏡虛惺牛) from 1899 to 1903. Among them, the teacher whom Hanam admired the most was Gyeongheo. This can be clearly seen in 「Ilsaengpaegual(一生敗闕)」 written by Hanam in 1912 in order to clearly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Gyeongheo and the line of his enlightenment. However, Hanam's official teachers were Haengneum(幸凜) and Seokdam(石潭), and the latter was more important. Hanam lived in the Tongdosa Temple with Seokdam for six years. In this regard, it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of Hanam to arr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am and Seokdam as well as its change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n Hanam and Seokdam, this paper examines their relationship and its changes. Through this, it is inferred why Hanam respected Gyeongheo more than Seokdam even though he came to know Seokdam after breaking up with Gyungheo. In addition, it has made clea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am and Seokdam was not steadfast but gradually relaxed. It also summarizes the positivity of the Naewonam period, and makes it clea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am and Gyeongbong was more important than that with eldest monk Ohaeryeon(吳海蓮).
目次Ⅰ. 서론 224

Ⅱ. 한암의 스승과 鏡虛惺牛 225

Ⅲ. 한암의 건당과 석담과의 관계 233

Ⅳ. 결론 242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22.50.08
點閱次數25
建檔日期2023.06.19
更新日期2023.06.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2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