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십이연기 존재 설명 - 하이데거의 존재 비평과 함께=Ontological Descriptions of Conditioned Co-arising: With Heidegger's critique of existence
作者 우동필 (著)=Woo, Dong-pil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46 n.0
出版日期2021.06
頁次267 - 30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전남대 철학과 강사.
關鍵詞연기=Dependent Co-arising; 십이연기=Twelve Links; 하이데거= Heidegger; 실존론; 실재론; Realism; Existentialism
摘要본 연구의 목표는 전기 하이데거(M. Heidegger)의 존재 비평과 함께 십이연기(十二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나타난 존재(有, bhava) 설명의 의미를 조명하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전통 형이상학과 실재성(realität)에 기반을 둔 관점을 문제로 삼고 현존재(Dasein)의 실존론적(existenzial) 존재론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전통 형이상학은 ‘눈앞에 존재’ (Vorhandenheit)를 통해 존재의 특성을 영속적 현전성(ständige Anwesen-heit)으로 파악하고, 그 실재론적 관점을 통해 존재 일반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하이데거에 있어 존재물음(Seinsfrage)의 대상은 ‘눈앞에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문제 삼아 그 의미를 발견하는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로서의 현존재이다.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에 더 나아가 어떤 구조에서 실재론적 관점이 나타나는지를 해명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그에 의하면 ‘세계-내-존재’인 현존재는 ‘도구성’(Zuhandenheit)의 관계로부터 ‘눈앞에 존재’인 존재자들에 몰입하고 그 몰입된 관점으로부터 다시 자신과 세계를 파악하기 때문에 실재론적 관점에 예속된다. 실재성의 유래에 대한 하이데거의 설명은 십이연기의 존재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십이연기에서 존재는 ‘취(取, upādāna)를 연하여 존재가 있다’는 방식에서 설명된다. 취는 경험으로서의 오온(五蘊, pañcakkhanda)과 그것을 욕탐을 통해 실재화한 오취온(五取蘊)을 매개하는 법칙이다. 본 연구에 의하면 십이 연기는 ‘오온-취-오취온’의 구조를 가지며 이는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왜냐하면 오온·오취온의 전개에 기반이 되는 식(識, viññāṇa)은 지향성의 계기들[十二入處]로부터 나타나 느낌(受), 인식(想, 혹은 생각)의 내용을 알며 언어적으로 활동하는 데, 이 개념이 하이데거가 말한 ‘세계-내-존재’의 기반으로서 개시성(開示性, Erschlossenheit)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세계-내-존재’에서 ‘도구성’으로부터 실재론적 관점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오온-취-오취온’의 십이연기에서 ‘취착된 유’는 행(行, saṅkhāra)의 조작과 함께 식(食, āhāra), 갈애(渴愛, taṇhā)의 조건이 있을 때 다시 유(再有, puna bbhava)로 이어져 실재론적 관점을 지속한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존재 비평의 유사성으로부터 십이연기의 존재 설명은 실재론적 관점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실재론적 관점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해명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 ontological descriptions shown in the conditioned co-arising(paticicasamuppāda) along with the critique of the existence of the early Heidegger. Heidegger takes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reality as a problem and presents the existential existentialism of Dasein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Heidegger, traditional metaphysics is limited because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through ‘presence-at-hand’(Vorhandenheit) as ‘perpetual presence’(ständige Anwesenheit) and does not explain the general existence through its practical perspective. For Heidegger, the object of ‘the question of being’ is not ‘presence-at-hand’, but ‘Being-in-the-world’ (in-der-Welt-sin), in which one discovers its meaning by taking issue with one's being. Heidegger goes further to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metaphysics and chooses a strategy to explain in which structure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emerges. According to Heidegger,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arises because existing beings, ‘Being-in-the-world,’ immerse themselves in the presence of 'in front of them' from the relationship of ‘ready-to-hand’(Zuhandenheit) and grasp themselves and the world again from that immersed perspective. Heidegger's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realism provides clues to understand the explanation of the being in Twelve Links. In Twelve Links, an explanation of being is described in the way that ‘being(bhava) is depended on the cling’(upādāna). the cling is a law that mediates between ‘the five aggregate’ as an experience and ‘the five clings to aggregate’ that take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through greed. In this study, a consciousness appear from the elements of intentionality and know the content of feeling, perception, or thought, and are linguistically active. This Because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consciousness which underlay ‘the five aggregate’ and ‘World disclosure’(German: Erschlossenheit) which underlay ‘Being-in-the-world’, ‘the five aggregate’-‘the clings’-‘the five clings to aggregate’ has a similar structure to Heidegger's ‘Being-in-the-world’. In Twelve Links emboded by ‘the five aggregate’-‘the clings’-‘the five clings to aggregate’, the clinged being is connected by its being as an acting of formations while there are feedings or longings, and then take the structure and the perspective which sustains a being. The explanation of the being in Twelve Links through the similarity of ‘instrumentality’ (Zuhandenheit) of Heidegger's can be interpreted not by a realistic description, but rather as an explanation for how its pe
目次Ⅰ. 서론 270

Ⅱ. 하이데거의 존재 비평 273

Ⅲ. 십이연기 존재 설명 283

Ⅳ. 결론 296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21.46.09
點閱次數39
建檔日期2023.06.22
更新日期2023.06.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68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