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한암(漢巖)의 <승가오칙(僧伽五則)> 대한 검토=A Review on Hanam(漢巖)'s < SeunggaOchik(僧伽五則) >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44 n.0
出版日期2020.12
頁次387 - 411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關鍵詞上院寺= Sangwonsa; 五臺山= Odaesan; 月精寺=Woljeongsa; 明珠寺=Myeongjusa; 洪莆龍=Hong Boryong; 佛敎儀式=Buddhist Rites; 李鍾郁=Lee Jongwook
摘要한암은 일제강점기를 전후해서, 총 4차례나 한국불교의 최고 위치인 敎正과 宗正으로 추대되는 당대 최고의 선승이다. 한암은 1926년 오대산 상원사에 주석하여 이후 26년간 외부 출입을 자재하며 선수행에만 매진한다. 이 과정에서 한암이 승려들에게 강조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승가오칙>이다. <승가오칙>과 관련해서는 한암이 오대산으로 들어오는 1926년에 제정·반포되었다는 관점과, 후대에 완성된 것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존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26년의 필연적인 당위성과 결부해서, 이 중 일부가 기본 강령으로 제기되어 점차 <승가오칙>으로 완성된 것이라는 주장을 제시했다. 또 <승가오칙>의 5가지 항목들을 통해서, 이것이 수행과 현실을 융합하는 全人的인 僧侶像을 추구한 것임을 알게 된다. 물론 5가지의 전체가 두루 원만한 것이 권장되지만, 불가능할 경우에는 이 중 1가지 만이라도 익숙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승려로서 최소한의 기본에 대한 노력의 촉구로 이해된다. 끝으로 <승가오칙>의 가장 큰 특징인 佛敎儀式의 강조를 통해서, 한암은 승려로서의 기본을 중시한 분임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한암의 특징적인 교육은 오대산 출신 승려들이 어떤 사찰에서도 환영받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Hanam is the greatest Zen Buddhist of his time, who had been promoted to Gyojong(敎正) and Jongjeong(宗正) the highest positions of Korean Buddhism four time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nam resided at Sangwonsa Temple in Odaesan in 1926, and then committed himself to the Zen practice for 26 years, restricting himself from going outside. One of the things that Hanam emphasized to the monks was the < Seungga Ochik >. , there have been two aspects: one is that Hanam enacted and promulgated it in 1926 when he entered Odaesan Mountain, and the other is that it was completed later. In this paper, in conjunction with the inevitable justification of 1926, it is suggested that some of these were raised as a basic code and gradually completed as the < Seungga Ochik >. In addition, through the 5 items of < Seungga Ochik >, it is understood that this was the pursuit of an all-human monk image that combined the practice and the reality. Of course, it was recommended that all of the 5 were well equipped but, if impossible, monks were asked to be familiar with at least one of them. This was understood as a basic accomplishment for a monk. Finally, through the emphasis on the Buddhist Rites(佛敎儀式), which wa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 Seunggao Ochik >, Hanam turned out to be a person who values the basics of a monk. Thanks to such a characteristic education of Hanam, the monks from Odaesan came to be welcomed at any temple.
目次Ⅰ. 서론 388

Ⅱ. <승가오칙>의 제정 배경과 성립 타당성 389

Ⅲ. <승가오칙>의 내용과 특징 399

Ⅳ. 결론 407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20.44.13
點閱次數17
建檔日期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71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