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마하승기율』의 오정법(五淨法)과 사대교(四大敎)=The Five Kappiya-dhamma(五淨法) and the Four Great Criteria(四大敎) in the Vinaya of the Mahāsāṅghikas
作者 이자랑 (著)=Lee, Ja-rang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43 n.0
出版日期2020.09
頁次91 - 114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關鍵詞마하승기율=Vinaya of the Mahāsāṅghikas=摩訶僧祗律; 사대교법=four great references=四大敎法; 정법=kappiya-dhamma=淨法; 사대교=four great criteria=四大敎; 오정법=five kappiya-dhamma=五淨法
摘要대중부 전승의 율장 『마하승기율』에서는 제1·2차 결집에서 편찬된 율의 내용 중 하나로 ‘오정법(五淨法)’을 거론한다. 오정법은 각 지방이나 특정 승가, 혹은 일반 사회에서 관습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행동들과 관련하여, 이들이 설사 율(律) 조문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이라 해도 현실적 편의를 고려해서 합법성을 인정하려는 것이다. 『마하승기율』에서 그 합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실질적 기준으로 제시하는 것은 ‘사대교(四大敎)’이다. 즉, 율에 명시되지 않은 행동일 경우 사대교에 비추어 적법 여부를 판단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사대교가 무엇인지 설명이 없어 구체적인 내용 파악은 어렵다. 선행 연구에서는 디가 니까야 제16경 『마하빠리닙바나 숫딴따(『대반열반경』)』에 나오는 ‘짯따로 마하빠데사(cattāro mahāpadesā, 四大敎法, 이하 ‘사대교법’으로 표기)’ 혹은 율장 「약건도」에 나오는 ‘깝삐야(kappiya, 淨)·아깝삐야(akappiya, 不淨) 결정설(이하 ‘정·부정 결정설’로 표기)’ 등과의 연관 가능성을 추정하고 있지만, 상세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오정법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는 두 가지 가능성을 각각 검토하며 오정법의 판단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대교가 갖는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사대교는 이미 확정된 율조문의 변화가 어려운 시점에, 현실적 실천과의 불협화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법(淨法)이다. 따라서 ‘경’과 ‘율’이라는 명확한 기준과의 부합을 요구하는 사대교법을 전제로 할 수 없으며, 율 조문의 해석 확장을 의도한 정·부정 결정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In the Vinaya of the Mahāsāṅghikas(『摩訶僧祗律』), as one of the contents of vinaya compiled in the 1st and 2nd saṃgīti(結集), the five kappiya-dhamma(五淨法) is discussed. The five kappiya-dhamma is to recognize the legitimacy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 convenience, even if the behavior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provisions of the rule, in relation to the behaviors customarily practiced in each province, specific saṃgha, or secular society. In the Vinaya of the Mahāsāṅghikas, the ‘four great criteria’ is the practical criterion for judging its legality. In other words, if the behavior is not specified in the Vinaya,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it is legal in the light of the four great criteria.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specific details because there is no explanation for what the four great criteria is. In previous studies, it is estimated that the four great criteria may be related to ‘cattāro mahāpadesā(四大敎法)’ in the Mahāparinibbāna-suttanta or ‘the theory of kappiya(淨)․akappiya(不淨)’ in the Bhesajja-khandhaka.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study on this ye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five kappiyadhamma to understand its meaning, and further examines each of the two possibilitie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nd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four great criteria, which is presented as a criterion for judgment of the five kappiya-dhamma.
目次Ⅰ. 서론 92

Ⅱ. 대중부의 비니장 결집과 오정법 94

Ⅲ. 사대교법과 사대교 99

Ⅳ. ‘정·부정 결정설’과 사대교 103

Ⅴ. 결론 108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10.21718/EABC.2020.43.04
點閱次數74
建檔日期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73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