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전의설(轉依說) 변천(變遷)에 대한 고찰(考察)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Basis and Transformative Change on Alaya Consciousness in Dasheng qixin lun(大乘起信論)
作者 지세한 (著)=Ji, Se-han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37 n.0
出版日期2019.03
頁次215 - 237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關鍵詞회통; 전변; 전의; 아뢰야식=Alaya Consciousness; 원효= Wonhyo; 대승기신론=Dasheng qixin lun; Transformative Change; Transformation of Basis; Unification of Doctrines of School
摘要『大乘起信論』에서 저자인 馬鳴은 一心ㆍ二門ㆍ三大의 구조를 통해 불법을 一心의 큰 틀 속에 융합하고 있다. 이문을 구성하는 心眞如門과 心生滅門은 勝義로서 覺에 의한 마음의 본성과 不覺에 입각해 분별심에 의해 윤회하는 유정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불각의 범주에서 심생멸문은 本覺에 의한 전의로서 佛菩薩이 不思議業相을 보여 중생을 구제하는 대승불교의 구제관을 뒷받침한다. 마명은 『대승기신론』의 序에서 유정에게 중생심이 곧 여래장이라는 믿음을 주어 대승보살도의 길로 나아가도록 권고하는 논저의 목표를 밝히고 있지만 그 연원은 유식의 轉依에서 비롯된다. 전의는 중생심으로부터 전개되는 마음의 전환으로 轉變과 轉識得智의 세밀한 이론으로 조직되었다. 유식의 실천인 瑜伽行은 無分別의 證智로부터 실현된다. 轉識得智는 전5식과 의식, 말나식과 아뢰야식을 成所作智ㆍ妙觀察智ㆍ平等性智ㆍ大圓鏡智로 바꾸는 것이다. 인도 유식의 전의가 무분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마명은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의 자각을 개입시키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경우 원효는 『대승기신론』을 중관과 유식의 인도불교사상을 토대로 주석하는 반면 중국의 경우 華嚴이나 法相과 같은 종파의 입장이 개입되어 湛然과 法藏은 自宗의 우위를 변호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Since the translation of Dasheng qixin lun(大乘起信論) in Silla and China the text was researched by schools of Mind Only(唯識) and Hwaom(華嚴). In original text Asvagosha, t he author unifies all the Buddhist doctrines in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Gate and Three Great Characters and defines a mind of sentient beings as that of Tathagata. Theories of the Gate of Reality(心眞如門) and the Gate of Life and Death(心生滅門) provides resources of Buddhist doctrines that explain the principle of life and death cycle and realization and Nirvana and all the miracles of Buddha and Bodhisattva to save sentient beings. The Transformation of Basis and Dependent Formation is the main theory of Mind Only Buddhism that provides doctrinal foundation of Dasheng qixin lun that how the division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 formated dependent on the state of mind of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and realization of truth. In the commentaries of Hyewon(慧遠), Damyon(湛然) Beobjang(法藏) it is shown the standpoint of schools and limitation of eras to understand doctrines of Buddhism but Wonhyo(元曉) maintains the interpretation of putting equal value on Madhyamaka and Mind Only integrating diversity of Buddhist doctrines.
目次Ⅰ. 들어가는 글 216

Ⅱ. 인도 轉依說의 두 조류 217

Ⅲ. 東아시아 轉依說의 展開 225

Ⅳ. 나오는 글 232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37.09
點閱次數23
建檔日期2023.06.25
更新日期2023.06.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83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