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무학자초(無學自超)의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 작성목적과 의미Ⅰ - 라옹(懶翁)의 사법(嗣法)과 중심 법맥(法脈)에 대한 검토=Creating Purpose and Meaning I of Muhag Jacho's “Buljo Jongpajido” - A Study on the Buddhist Sects focusing on the Method and the Principle of the Method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35 n.0
出版日期2018.09
頁次357 - 385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印可; 檜巖寺= Hoeamsa; 平山= Pyeongsan; 懶翁= Naong; 指空= Jigong; permission
摘要懶翁에게 嗣法한 스승은 指空과 平山의 두 분이다. 그런데 나옹의 제자인 자초는 「불조종파지도」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지공을 제외한 평산 중심의 구조만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자초의 「불조종파지도」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나옹이 지공과 평산 중 누구의 가르침을 주로 잇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나옹이 원나라에 유학하는 목적을 확인하고, 이후 법맥을 계승하게 되는 상황에 대해 검토해본다. 이를 통해서 확인되는 것은 나옹이 지공을 목적으로 원나라 유학을 감행한다는 점. 그리고 평산보다는 지공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는 점이다. 또 나옹은 10년이라는 장기유학의 결과로 지공과 돈독한 관계를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지공은 나옹을 수제자로 인정하며, 나옹 역시 지공에 의한 영향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이는 나옹과 평산의 관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측면이다. 나옹은 1370년 지공의 靈骨이 고려로 전해져 거국적인 추모열기가 고조되는 것과 함께 크게 부각한다. 이는 나옹이 공민왕에 의해서 불교계의 동반자로 채택되면서 왕사에 임명되는 배경이 된다. 이후 나옹은 지공의 예언에 입각해서 檜巖寺를 대대적으로 중건한다. 즉 나옹은 평산이 아닌 지공과 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지공의 계승자인 것이다.

The masters under whom Naong(懶翁) had studied were Jigong(指空) and Pyeongsan(平山). By the way, Jacho, a disciple of Naong, just presented the structure centering on Pyeongsan rather than Jigong in the precess to write < Buljo Jongpajido >.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Jacho's assertion in < Buljo Jongpajido >, this paper examines whose teaching Naong was following, Jigong or Pyeongsan? For this, the purpose of Naong's studying in Yuan was first examined, and then the situation in which he succeed the legal tradition.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is that Naong dared to travel to Yuan to learn from Jigong and that he was affected by Jigong more than Pyeongsan. Also, as a result of ten years long study in China, Naong built a strong relationship with Jigong. Because of this, Jigong recognized Naong as his disciple, and Naong also recorded the influence of Jigong. This is an aspect that is not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ong and Pyeongsan. In 1370, Naong was greatly highlighted when Jigong's holy bones were conveyed to Goryeo, along with a growing national memorial fever toward Jigong. This was the background for Naong to be appointed as the royal master and the leader of Buddhism by King Gongmin. Since then, Naong rebuilt the Hoeamsa Temple greatly based on the Jigong's prophecy. In other words, Naong was not a Pyeongsan's disciple but a successor of Jigong who had been more closely related to him.
目次Ⅰ. 序論 358

Ⅱ. 나옹의 법맥과 중심법계 검토 360

Ⅲ. 나옹의 고려에서의 대두와 지공의 영향 369

Ⅳ. 結論 379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8.35.13
點閱次數34
建檔日期2023.06.28
更新日期2023.06.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410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