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법화경』 「비유품」의 사거에 대한 동물비유의 상징성 연구=A study on the religious symbolism of the chariots of animals at Chapter on A Parable in the Lotus Sutra
作者 하영수 (著)=Ha, Young-Su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9 n.0
出版日期2017.03
頁次281 - 311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關鍵詞상징성; 삼거; 삼승; 「비유품」; 법화경=the Lotus Sutra; symbolism; three chariots; three-vehicles; Chapter of a Parable
摘要법화경의 「비유품」에서는 세 종류의 동물이 끄는 수레의 비유를 설하고 이를 삼승과 연결시켜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성문승과 독각승의 비유풀이에 대해서, 두 한역본인 『정법화경』과 『묘법연화경』에서는 성문승을 양의 수레로, 독각승을 사슴 수레로 풀이하고 있는 반면, 범어본에서는 대응관계가 뒤바뀌어 있다. 그러나 네 개의 항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대응관계가 뒤바뀐 두 개의 진술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이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범어사본 등을 참조하여 문제를 명확하게 하고, 이후 비유되는 동물의 상징성과 불제자의 유형의 공통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했다. 그 결과 가축으로서의 양(aja)의 특징과 성문의 붓다에 대한 의존성이 공통되므로, 양을 성문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또한 사슴(mrga)의 야생성과 독각의 無師獨悟라는 특징이 상통하므로, 사슴을 독각의 비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살승과 불승에 소(go)의 비유가 사용된 이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먼저 법화경 자체에 붓다가 소로 비유되는 용례들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실제로 석가모니 붓다의 이름이 최상의 소를 의미하는 `고타마(gotama)`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소를 숭배하는 인도의 문화적 토양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추측되는데, 인도에서 최상의 소는 흰 소이기 때문에 `고타마 붓다`는 `흰 소의 붓다`를 의미한다. 바로 이러한 상징성에 의거하여 大白牛車가 佛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In the Chapter on Parable of the Lotus Sutra, the Buddha preaches a parable of chariots which are drawn by three kinds of animals and reveals its meaning by connecting with the three vehicles. Howev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metaphor and object about the sravakayana (聲聞) and the praryekabuddhayana (獨覺) is reversed. In the two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i.e. Zheng-fa-hua-jing (正法華經) and Miao-fa-lian-hua-jing (妙法蓮華經), the sravak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sheep and the praryekabuddhayana is translated as chariot of deer. On the contrary, this correspondence version is reversed in the critical edition of Sanskrit. If four items are fixed, two kinds of propositions in which their correspondence is reversed could not be allowed. Therefore, to examine this problem, I consulted with manuscripts of the Sanskrit versions of the Lotus Sutra, and then focused on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symbolism of the animals and the type of the Buddha`s disciples. As a result, the feature of sheep (aja) as livestock and the dependence of the sravaka on the Buddha have in common, so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sheep as a metaphor for the sravaka.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ness of the deer (mrga) and enlightenmentwithout- teacher (無師獨悟) of the pratyekabuddha are so common that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deer as a metaphor for pratyekabuddha.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I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parable of cow (go) was used in the bodhisattvayana (菩薩乘) and the buddhayana (佛乘), and I confirmed that the Buddha is likened to the cow in the Lotus Sutra. In addition, I paid attention to the Buddha`s name Gotama. Then, I assumed that a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Buddha as cow was used in the cultural background of India which adores cow. Also, because the best cow in India is the white cow, the Gotama Buddha is symbolized by the Buddha of the white cow. Based on this symbolism, I assumed that the metaphor of the white cow was adopted for the buddhayana.
目次I. 들어가는 말 282

II. 동물 수레에 관한 비유 확인 284
III. 동물 수레 비유에 관한 이해 292
IV. 맺음말 306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10.21718/EABC.2017.29.10
點閱次數38
建檔日期2023.07.23
更新日期2023.07.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11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