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아비달마불교에서의 마음에 관한 몇 가지 쟁점=Some issues of mind in Abhidharma Buddhism
作者 권오민 (著)=Kwon, Oh-min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8 n.0
出版日期2016.12
頁次183 - 21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關鍵詞심·의·식; 소의; 소연; 행상; 심·심소 상응구기; 심·심소 차제계 기; 일심; mind=citta; sprit=manas; consciousness=vijñāna; a support(āśraya) of mind; an object(ālambana) of mind; an aspect(ākāra) of mind; Sarvāstivāda; Sautrāntika
摘要마음이란 무엇인가? 대승불교에서의 마음은 만물의 근원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불교철학의 최초의 전개라고 할 만한 아비달마불교에서는 다만 인간/세계존재의 한 조건, 인식이나 사유의 주체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대개는 존재론적 차원이 아닌 인식론적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그럴 경우 마음은 그 자체로서는 설명될 수 없고, 인식 혹은 심리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그 밖의 다른 제법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설명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설일체유부 비파사(毘婆沙)의 심식론(心識論)의 대강을 제시한 『구사론』 「근품」 제34송에 근거하여 설일체유부와 경량부가 마음의 정의를 비롯한 소의(所依, asraya)·소연(所緣, alambana)·행상(行相, akara)과 심·심소의 상응(相應)관계와 관련하여 제기된 제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였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주요쟁점은 마음(心識)과 심소, 소의(근)·소연(경) 등의 제법의 생기가 동시(同時)인지, 이시(異時, 즉 차제생)인지 하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소연과 행상의 성격을 달리 이해하였다. 이를테면 유부에서는 이러한 제법의 동시인과를 주장함으로써 마음을 다만 객관의 인식대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지만, 경량부에서는 이시인과를 주장함으로써 인식대상을 전 찰나의 외계가 아닌 마음 상에 나타난 형상(akara: 행상)으로 이해하였고, 이에 따라 마음을 인식대상을 비롯한 염정(染淨)의 일체법의 토대로 간주하게 되었다. 그들은 이를 일심이라 하였다.

What is mind? The mind in Mahayana is considered as a nature or essence of the whole of creation, but in Abhidharma buddhism which can be seen as the first development of the Buddhist philosophy have seen it just as a condition of human/ worldly existence, the subject of cognition or thought. Thus, it has been dealt not as ontological dimension, but as epistemological dimension. In this point of view, mind cannot be explained by itself. It can be explained only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conditions that make recognitions or mental states possible. The outline of Sarvastivadins` theory of mind is proposed in Abhidharmakosabhasyam chapter Ⅱ The Indriyas 34th verse. : The names mind (citta), sprit (manas), and consciousness (vijnana) designate the same thing. The mind and its mental states “have a support”, “have an object”, “have an aspect”, and are “associated” in five ways. This thesis discussed how Sarvastivadins and Sautrantika understood the problems on the definition, a support (asraya), an object (alambana), an aspect (akara) of mind ect., and an association with mental states.
目次I. 서언 184

II. 마음의 정의 187
III. 마음의 생기 191
IV. 심.심소의 생기조건 196
V. 결어 207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29
建檔日期2023.07.24
更新日期2023.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23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