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근대 불전 수입과 대형 불서의 편찬=Impor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Publication of Large Volume Buddhist Texts in Modern China
作者 김영진 (著)=Kim, Young-jin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7 n.0
出版日期2016.09
頁次35 - 67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조교수.

關鍵詞양원후이=楊文會=Yang Wenhui; 난조 분유=南條文雄=Nanjo Bunyu; 대장경=大藏經= Tripitaka; 불학대사전=佛學大辭典=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딩푸바오=丁福保=Ding Fubao
摘要본고는 근대 중국에서 불교 문헌이 일본에서 수입되고, 대장경이나 불교사전 등 대형 불서가 편찬되는 과정을 살핀다. 1868년 난징에 금릉각경처를 설립하여 불서 간행에 앞장선 양원후이(楊文會)는 일본 승려 난조 분유(南條文雄)와 교류하면서 중국에서 사라진 중국 찬술 문헌을 대량으로 수 입한다. 이렇게 수입된 불교 문헌은 이후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양원후이는 일본에서 행해진 『만속장경』 조성에 직접 참여하여 명청대(明淸代) 불교문헌을 일본 측에 전달하기도 한다. 당시 중국 불교계는 일본에서 수입된 대장경을 저본으로 새로운 대장경을 조성하기도 하고, 중국에서 새로 발견된 송대(宋代)와 금대(金代) 대장경을 영인(影印)하기도 한다. 또한 1920년대 딩푸바오(丁福保)는 일본의 근대적인 불교사전을 참고하여 『불학대사전』을 편찬했는데, 이는 이후 중요한 공구서로 활용된다. 이렇게 중국 근대 불전 편찬은 불교 근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단지 중국 내의 사건이 아니라 일본 등과 국제적 교류 속에서 진행됐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Buddhist literatures were imported from Japan into China, and large volume Buddhist texts such as Buddhist dictionaries or Tripitaka were published. In 1868, Yang Wenhui (楊文會), who led the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established Jinling Buddhist Publishing House (金陵刻經處) in Nanjing, and started exchange with the Japanese monk, Nanjo Bunyu (南條文雄). Through this exchange, he imported many compilations of Chinese texts that have disappeared from China. These texts that were imported back into China made an enormou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Furthermore, Yang Wenhui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collecting and publishing Manji Tripitaka Sequel (卍續藏經) that was conducted in Japan and delivered Buddhist texts from Ming and Qing Dynasties to Japan. During this period in China, new Tripitaka were published based on the Tripitaka imported from Japan, and the newly discovered Tripitaka from Song and Yuan Dynasties were reproduced in facsimile. Also, in the 1920s, Ding Fubao (丁福保) published the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佛學大辭典) by referring to the modern Buddhist dictionaries that were published in Japan. Ding’s dictionary later came to be utilized as an immensely important reference book. As such, publication of modern Chinese scriptures not only shows symbolically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but also that the process was not an isolated event in China, but one that unfolded in a manner of international exchange with Japan, etc.
目次I. 머리말 36

II. 양런산의 불전수입과 난조 분유 37
III.대장경 간행과 불서 영인 45

IV. 딩푸바오의 『불학대사전』 편찬과 경학 전통 54
V. 맺음말 63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22
建檔日期2023.07.24
更新日期2023.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25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