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가철학(佛家哲學)의 연기설(緣起說)에 의한 언어도입과정의 논리적 재구성=A Logical Reconstuction of th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Pratltyasamutpada)
作者 홍성기 (著)=Hong, Sung-Ki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7 n.0
出版日期2016.09
頁次253 - 28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교수.
關鍵詞언어도입과정; 唯識三性=the three natures of Yogācāra; 識과 名色; 十二緣起=the twelve-fold chain; 緣起; dependent origination; consciousness and name-form; language acquisition
摘要『雜阿含經』 「蘆經」에 의하면 식과 명색은 빈터의 갈대가 셋이 서로 의지하며 서 있듯이 상호의존적이며, 『解心密經』의 唯識三性에 의하면 圓誠實로 표현될 수 있는 全一論的 세계에서 依他起와 遍計所執에 의해 識과 色, 識과 名色이 구성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바로 唯識三性을 언어도입의 원칙으로 설정하고 識과 名色의 상호의존 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어린이의 언어습득과정의 재구성에서 1차적으로 드러난 것은 어린이가 자기 나름대로 사물의 유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각영역이 미분화된 共感覺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신체적 조건 하에서 어린이는 나름대로 미분화된 감각영역 전체를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징후관계를 통하여 사물의 유형을 주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언어도입과정에서 2차적으로 중요한 단계는 어린아이가 형성한 사물유형을 이미 존재하는 언어공동체의 사물유형과 일치시키는 것으로서, 여기에 어린이의 역할 바꾸기와 관점 바꾸기 능력이 필수적이다. 언어현상에 대한 연구가 철학과 인지과학에 대하여 갖는 함축은 대단히 다양하고 중요하다. 언어현상에 대한 논리적 재구성은 緣起의 분할과 조합 구조를 唯識論의 핵심개념에 연결시켜 相의 解體와 構成을 동시에 바라보는 시도의 시작이기도 하다.

According to Samyuktagama(SA 288, 「蘆經」) consciousness(識) and name-form(名色) are interdependent just like three reeds standing on the bare ground. This complex interdependency of mind, language and reality is more clearly explained with the help of the three Yogacara natures, parinispanna(fully accomplished, 圓誠實), paratantra (other dependent, 依他起), parikalpita(fully conceptualized, 遍計所執), which are depicted in the Samdhinirmocana Sutra(the Unraveling Thought Sutra, 『解心密經』).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we must be able to reconstruct the very dependency of consciousness and name-form in th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se three Yogacara natures.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acquiring a language shows that children must have their own senses of synaesthesia to initially develop the object scheme. Such somatic condition concedes the children to acquire the object scheme from her/his subjective perspective. And this becomes likely through the symptomatic relation that is made when the children partition the undifferentiated senses as a whole. The next significant step of acquiring a language is that children should synchronize their own object scheme with that of the existing language community in dialogue and this sensible phenomenon requires mutual role change and perspective change by children. Especially the logical reconstruction of language acquisition may lead to unite the middle way interpret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pratltyasamutpanna) and the core concepts of mere-consciousness, i,e, to merge buddhistic d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process of object scheme(nimitta).
目次1. 서론:『解心密經』의 唯識三性 해석과 언어도입 재 구성의 원칙. 254
2. 언어도입과정의 재구성 262
3. 상징의 도입을 위하여 276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87
建檔日期2023.07.24
更新日期2023.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25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