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자장의 중국오대산행(中國五臺山行)과 문수친견(文殊親見) 장소에 대한 검토 -도선(道宣)의 『집신주삼보감통록(集神州三寶感通錄)』과 민지(閔漬)의 「제일조사전기(第一祖師傳記)」를 중심으로=A Review on Jajang’s Journey to Chinese Odaesan and Meeting Place with Manjusri - Based on Doseon(道宣)’s 『Jibsinju Sambo Gamtongnog (集神州三寶感通錄)』 and Minji(閔漬)’s 「Jeil Josa Jeongi(第一祖師傳記)」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6 n.0
出版日期2016.06
頁次183 - 214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關鍵詞北臺= Bugdae; 太和池= Taehwaji; 閔漬= Minji; 中國五臺山= Chinese Odaesan; 佛舍利=Buddhist Śarῑra
摘要자장은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고승으로, ‘戒律’과 ‘文殊信仰’ 및 ‘寶宮信仰’의 정립자라는 점에서 한국불교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크다. 그러나 자장 은 律師임에도 불구하고 일생 자체가 神異함으로 점철되어 있다. 또 여기에 후대에 종교적인 윤색과정을 거치면서, 현재로서는 어디까지가 원형인지 조 차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고는 자장의 중국오대산행의 타당성과, 문수를 친견하는 장소에 대해서 검토한 것이다. 자장의 오대산행은 『삼국유사』에는 唐에 들어간 직후라고 적혀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민지의 「제일조사전기」 등을 근거로 이것이 타당하지 않으며, 귀국하기 전에 중국의 불교유적을 참배하는 과정에서 이루 어진 일임을 밝혔다. 또 이 과정에서 道宣의 『집신주삼보감통록』에서 확인 되는 측면과, 자장의 문수친견 간에 구조적인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점도 제 시했다. 이는 자장의 오대산참배가 도선과 관련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 된다. 다음으로 자장이 문수를 친견하는 장소와 관련해서, 『삼국유사』에는 ‘北 臺’와 ‘太和池’의 두 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이를 「제일조사전기」를 통해서 북 대가 보다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 이와 아울러 민지의 서술태도 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민지는 객관적인 합리성이 아닌, 종교라 는 테두리 안에서의 합리성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민지가 儒學者이면서도 神異史觀을 견지하는 측면과도 일치된다.

As a famous monk representing the Age of Three Kindoms, Jajang occupies a great position in Korean Buddhism in that he was the founder of ‘Sila-Vinaya(戒律)’, ‘Manjusri faith(文殊信仰)’ and ‘Bogung(寶宮) faith’. But, Jajang’s life was full of mysteries, though he was a Vinaya master(律師). Furthermore, his life was embellished by next generations so much that we can hardly find which are true and fake now.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Jajang truly went to Chinese Odaesan and where he personally met Manjusri. 『Samgug Yusa』 tells us that Jajang went to Odaesan right after he entered Tang(唐). But, based on Minji’s 「Jeil Josa Jeongi(第一祖師傳記)」, this paper shows that the record of 『Samgug Yusa』 is not correct, and that he went there right before he came back to his home country during his pilgrimage of Chinese Buddhist relics. Furthermore, in this process, this paper shows that there are som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Jajang’s meeting with Manjusri and a story in Doseon (道宣)’s 『Jibsinju Sambo Gamtongnog(集神州三寶感通錄) 』, alluding that Jajang’s visit to Odaesan may be related with Doseon. Next, as the place where Jajang met Manjusri, 『Samgug Yusa』 records in double: ‘Bugdae(北臺)’ and ‘Taehwaji(太和池)’. Based on 「Jeil Josa Jeongi」, this paper concludes that Bugdae is more plausible. In addition, it also deals with Minji’s describing attitu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inji pursued the rationality within the religious boundary rather than the objective rationality. It matches well with Minji’s position as a Confucian with the view of Sinisagwan(神異史觀)
目次I. 서론 184

II. 자장의 오대산행과 도선의 누락 188
III. 『삼국유사』의 北臺說과 太和池說 검토 194
IV. 민지의 통합과 타당성 제시 202
V. 결론 208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44
建檔日期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41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