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무아의 치료적 가능성에 대한 고찰=A Study on the Therapeutic Potentiality of Non-Self Theory (anattavada)
作者 이은정 (著)=Lee, Eun-Jung (au.) ; 임승택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3 n.0
出版日期2015.09
頁次451 - 48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
關鍵詞자아= ego; 심리치료; 위빠사나 명상; 사념처; 무아=non-self; Satipaṭṭhāna; psychotherapy; vipassanā meditation
摘要붓다에 따르면 자아란 경험적 현실을 구성하는 오온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된 것일 뿐이다. 자아란 그 어디에도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붓다는 오온이라는 경험적 현실을 자아로 간주하는 한 괴로움의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붓다가 내세우는 무아의 논리는 자아로 내세울 만한 것이 없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일체의 괴로움을 극복하도록 만드는 목적을 지닌다. 붓다가 가르친 명상 역시 무아의 실현을 통해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이르게 하는 수단이다. 심리치료가인 마크 웹스타인(Mark Epstein)은 자기애야말로 인간을 괴로움에 처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자기애는 자아라는 것이 유동적이고 실체가 없다는 사실을 망각하도록 만든다. 붓다가 제시했던 사성제의 실천은 자기애로부터 벗어나 괴로움을 치유하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입장에서 오웬 플래나간(Owen Flanagan)또한 무아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 언급하였다. 에크하르트 톨래(Eckhart Tolle) 역시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자아관념으로부터 벗어나 지금 이 순간에 머물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붓다가 가르치는 무아와 심리치료가들이 주장하는 자아는 서로 상반된 개념처럼 보인다. 그러나 심리치료가들 또한 자아란 일시적이고 상대적인 것일 뿐 집착할 만한 그 무엇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서로의 논리는 충분히 소통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무아와 자아는 불건전한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공통된 목적을 지니며, 치유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원리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According to Buddha, self (atta) is derived from the attachment to the five aggregates (pancakkhandh.) which make up the empirical world. Buddha insists that one could not escape from the state of suffering as long as one considers the five aggregates as self. Buddha갽s non-self theory takes the purpose of overcoming suffering by making conscious of the fact that there is nothing to be called as self. The meditation taught by Buddha is also the means to reach the state of freedom from suffering through the realization of non-self. Psychiatrist Mark Epstein points out that Narcissism makes human fall into suffering. Narcissism also causes one to forget the fact that self is flexible and does not have substantiality. The practice of the Four Noble Truths (catt.ri-ariyasacc.ni) which Buddha taught can be an effective way to heal the suffering from narcissism. At the similar view point with Mark Epstein, Owen Flanagan also referred to accepting the truth of non-self as the road to happiness. Eckhart Tolle also emphasizes that one has to stay at present moment to get rid of the notion of self in order to stay free. Non-self-theory seems to be a contradictory concept with self in psychiatry. But Psychiatrist also argues that self which they are saying is probably temporary and relative, and one should not cling to self not to feel suffer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theories could interact with each other. I found out that non-self theory and the self have a common purpose to escape from the unhealthy state, and have the similar principles which can be used for healing.
目次I. 서론 452

II. 초기불교의 무아론 454
III. 무아의 치료적 활용 462
IV. 무아 실천의 과정 469
V. 결론 476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37
建檔日期2023.07.26
更新日期2023.07.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65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