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십지경』 제7지와 8지의 비유를 통해 본 대승(mahāyāna): 오해와 은폐=Mahāyāna as Seen through Parables in the 7th and 8th bhūmis of the Daśabhūmikasūtra
作者 이영진 (著)=Lee, Young-jin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56 n.0
出版日期2022.02.28
頁次9 - 40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關鍵詞대승=大乘; 삼승=三乘; 대지=大智; 위대한 [자로 향해 가는] 길; 『십지경』; 『십지경론』; Great Vehicle=Mahāyāna; Great wisdom/wisdom of the great=Mahājñāna; Three vehicles=triyāna; Great path/path leading to the great
摘要이 논문은 『십지경』 제7지와 8지에 나타난 다양한 비유를 통해 대승(mahāyāna)이라는 용어를 고찰한 ‘문헌학적’ 논문이다. 이 논문은 한편으로는 텍스트 스스로 소리내게 하여 대승에 관한 오해를 드러내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텍스트의 변천과정상에서 은폐된 요소를 찾아내어 그 의도를 추리한다는 의미에서 ‘문헌학적’ 작업이다. 결론을 언급하자면, 적어도 『십지경』의 맥락에서는 ‘자리(自利)만을 추구하는 소승(小乘)에 비해 대승은 수많은 중생을 태워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는 이타(利他)가 강조된다’는 인식은 섣부른 오해이다. 『십지경』에서 대승은 성문승, 벽지불승, 바라밀승, 보살승과 함께 각종 ‘탈 것’으로 비유되지만, 그 본질은 수행도(mārga)이다. 대승과 나머지 탈 것의 차이는 수행도의 질적 차이이지 승객(≒중생)의 유무와 규모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도 간접적인 암시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십지경』에서 삼승(三乘)은 보살에 귀속된 ‘보살행’ 혹은 불세존에 귀속된 ‘대승’이 성문승과 벽지불승에 덧붙여진 형태로, 성문승·벽지불승·보살승이라는 전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보살승은 제7지까지의 보살이 타는 수단(=수행도)인 바라밀승과 비교되어 제8지 이상의 보살이 지니는 ‘완전한’ 수행도로 묘사되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자료를 비교하여 검토했을 때, 적어도 성문승과 대승은 ‘성문들의 지혜’와 ‘위대한 [자의] 지혜’를 의미하거나 바꾸어 쓸 수 있는 용어로 보인다. 제8지의 비유에서는 ‘mahājñānabodhisattvacaryāsāgaras’(위대한 [자의] 지혜를 갖춘 바다와 같은 보살행)에서 ‘jñāna’가 빠져나간 ‘mahābodhisattvacaryāsāgaras’(바다와 같은 대(大)보살행)이라는 복합어가 나타난다. 이는 붓다의 깨달음[菩提]을 오롯이 추구한다는 자리(自利)에 중심을 둔 ‘mahājñāna’(위대한 [자의] 지혜)를 은폐함을 통해 보살은 그 추구의 도상에서도 중생구제를 해야 한다는 이타적 측면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고자 하는 의도 혹은 흐름아래서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리고 그 시기는 본래 ‘mahājñāna’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는 ‘mahāyāna’가 그 의미를 상실하고 '커다란 탈 것'으로 고정화된 시기(『십지경론』의 제작 시기 혹은 그 직후인 5세기 무렵?)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This article is a ‘philological’ work that examines the term mahāyāna through various metaphors shown in the seventh and eighth bhūmis of the Daśabhūmikasūtra. This work can be named ‘philological’ in the sense that, on the one hand, it reveals misunderstandings about mahāyāna by letting the text itself say, and on the other hand, finding cover-ups in the text’s transformation process and inferring their intention. In conclusion, at least in the context of Daśabhūmikasūtra, it is a hasty misunderstanding that great emphasis is laid on the altruism of the Great Vehicle (mahāyāna) by which bodhisattvas carry numerous sentient beings to the world of nirvāṇa from the world of delusion. In the text, mahāyāna is compared to various ‘vehicles’ along with śrāvakayāna, pratyekabuddhayāna, pāramitāyāna, and bodhisattvayāna. The difference between mahāyāna and the other vehicles is the qualitative difference in practice (mārga). There is no direct mention or indirect suggestion about the presence or number of passengers. Here, in the Daśabhūmikasūtra, the last item of three vehicles (triyāna) is mentioned as the bodhisattvacaryā ascribed to bodhisattvas or as the mahāyāna belonging to Buddhas. The bodhisattvayāna, the last typical item of three vehicles in common sense, is described as a complete path of practice of bodhisattvas' in the 8th bhūmi or higher. In contrast, the pāramitāyāna is mentioned as the preliminary path of practice of bodhisattvas up to the 7th bhūmi. Moreover, the two yānas of the three vehicles as mentioned earlier, that is to say, the śrāvakayāna and the mahāyāna, appear to imply or to be interchangeable with wisdom (jñāna) of śrāvakas and the great (Buddha). In the parable of the 8th bhūmi, the cover-up of deletion of the great wisdom/wisdom of the great (mahājñāna) can be found. The deletion seems to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r under the flow that by concealing mahājñāna, the center of gravity should be moved to altruism of the Great Vehicle from the self-interest position of pursu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alone. This concealment must have been done around the 5th century when the mahāyāna was no longer understood as the great wisdom/wisdom of the great (mahājñāna) and fixed into the Great Vehicle.
目次Ⅰ. 들어가며 11
Ⅱ. 삼승(triyāna) 13
Ⅲ. 배의 비유를 통해 본 대승(mahāyāna) 22
Ⅳ. 나가며 32
ISSN12253154 (P)
DOIhttp://doi.org/10.34275/kibs.2022.56.009
點閱次數93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56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