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선 건국초 무학의 興法과 奠都=Review of Selecting Hanyang, the Capital City and Buddhist Activities by Monk Muha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作者 Hwang, In-gyu (著)=황인규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56 n.0
出版日期2022.02.28
頁次105 - 134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關鍵詞무학= Monk Muhak; 왕사=King's teacher; 회암사=Hoeamsa Temple; 개경 불사=Gaeseong Buddhism; 한양= Hanyang
摘要본 연구는 태종과 세종대 불교 탄압시책 이전인 조선 건국초 왕사 무학의 興法과 奠都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무학은 이성계의 탄신일에 왕사로 책봉되어 그의 스승 지공이 터를 잡고 스승 나옹과 함께 흥법하고자 했던 양주 회암사에 머물렀다. 무학은 회암사에서 태조의 권유에 따라 계룡산의 지세를 살피는데 동행하였으나 “능히 알 수 없다.”고 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고 회암사로 돌아왔다. 무학은 그 후 1년여 동안 고려의 국도였던 개성에 머물면서 고려말 숭유억불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던 연복사의 탑을 낙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려 태조 왕건이 희사해 지은 개성 광명사에서 불사를 주관하는 등 흥법을 펼쳤다. 이는 후에 이성계로 하여금 흥덕사를 한양에 창건하게 하였다고 생각되며, 흥덕사는 교종의 도회소가 되기에 이른다. 그런 후 양주 회암사로 가서 스승 지공과 나옹의 탑명을 새기고 불교계의 조파를 새롭게 확정하여 『불조종파지도』를 편찬하였다. 이렇듯 무학은 나옹을 중심으로 하는 법계를 정립하여 불교계의 재편을 꾀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후 국도 후보 터가 제기되었지만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후보지인 고려의 남경 터나 그 일대인 무악과 한양의 지세를 살피는데 참여하였다. 무악의 지세를 살필 때 무학의 의견은 알려진 바 없으나 남경의 터에서는 “도읍을 정할 만하다.”고 하면서도 신료들의 의견을 따라 결정하라고 하였다. 비문에 의하면 이성계가 무학에게 “세상 사람들의 터 잡는 것이 도사의 눈만 하겠는가.”라고 하였으며, 무학은 계룡산과 한양 등 국도 후보지의 지세를 살필 때 이성계와 함께 하였다. 이렇듯 무학은 한양을 국도를 선정하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ist Act of monk Muhak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efore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king Taejong and Sejong eras. Monk Muhak was ordained a royal priest on Lee Seong-gye's birthday and stayed at Hoeamsa Temple in Yangju, where his teacher Jigong established a foundation and, together with his teacher Naong, wanted to promote Buddhism. Monk Muhak accompany him to check the topography of Gyeryongsan at Hoeamsa Temple according to king Taejo's recommendation, and inspected the shape of the land. After that, monk Muhak stayed in Gaes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about a year, and completed the pagoda of Yeonboksa Temple,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suppression of Buddhism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This is thought to have caused Lee Seong-gye to build Heungdeoksa in Hanyang, and Heungdeoksa becam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of Buddhism. After that, monk Muhak went to Hoeamsa Temple to commemorate his teachers, monk Jigong and monk Naong, and tried to reorganize the Buddhist world centered on them. After that, the site of the capital was raised, but among them, the site of Namgyeong of Goryeo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Muak and Hanyang were investigated. Monk Muhak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shape of the land of Muak, but the site of Namgyeong said that it was “worthy of making it a capital,” but told him to decide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his servants. As in the inscription, monk Muhak always followed Lee Seong-gye when he toured around Gyeryongsan and Hanyang. Seonggye Lee told monk Muhak, “Monk Muhak is the best in selecting the site of the land.” said. Judging from these records, it can be said that monk Muhak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election of the capital of Joseon.
目次Ⅰ. 서언 107
Ⅱ. 왕사 책봉과 흥법 활동 109
Ⅲ. 조선의 국도 한양 전도 118
Ⅳ. 결론 127
ISSN12253154 (P)
點閱次數21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56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