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The Types of Teaching on Selflessness (anattan) in Early Buddhism I
作者 임승택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69
出版日期2021.12
頁次1 - 22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무아; 비아; 나= I; 자아= self; 견해= diṭṭhi; 동일시 부정; selflessness; not the self; disidentification
摘要무아의 의미에 관한 논의는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한국불교계에서는 ‘무아윤회’라는 독특한 이론이 크게 유행하였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무아윤회’의 논리에 내재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필자는 ‘무아윤회’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초기불교 본래의 무아로 되돌아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그러한 이유에서 니까야(Nikāya)에서 설해지는 무아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는 작업에 나서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무아(anattan)라는 용어의 격변화 형태에 주목했던 선행 연구를 뒤잇는 것으로, 무아라는 말이 등장하는 구절이나 문장을 검토하면서 무아에 대한 유형별 구분을 시도한다. 여기에는 무아라는 낱말 자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무아설로 귀속시킬 수 있는 구절이나 문장 등도 포함된다.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되었던 무아설을 3가지 부류의 11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지면 관계상 이들 중 첫 두 부류의 6가지 무아 유형에만 논의의 초점을 모은다.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무아의 실제 의미가 ‘동일시의 부정’ 즉 비아(非我)에 가깝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는 ‘나의 것’에 대한 부정을 묘사하는 와중에 오히려 ‘나’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사례도 나타나며, 바로 그것을 무아의 의미로 형식화하여 해설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한편 두 번째 부류의 3가지 유형은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또한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필자는 이들 6가지 유형들이야말로 초기불교에서 가르친 무아설의 주류(mainstream)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lessness or anattan have already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In particular, the interesting theory of ‘selfless rebirth (無我輪廻)’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Korean Buddhist academia, and until recently, problems inherent in the logic of ‘selfless rebirth’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theory of ‘selfless rebirth’, I realized the need to return to the original Buddhist selflessness teaching, and for that reason, I began to work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selflessness in Nikāyas. This study follows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grammatical cases of the term anattan, and attempts to distinguish the doctrines of selflessness by types while reviewing the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appears. And this work also includes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itself does not appear, but can be attributed to selflessness teachings. I believe that the selflessness that existed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could be subdivided into eleven types under three categor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x types of the first two categories. The first three types of selflessness belonging to the first category indicate the fact that the actual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ose to the meaning ‘it's not mine (非我)’. Among these, there are circumstances where the existence of self is rather accentuated while describing the denial of 'my own,' but cases where the denial of 'my own' is formalized and articulated in the formal meaning of selflessness.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on the other hand, condemn speculative discourses and even regard these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voiding the concept of self in whatever form, citing conceptual or linguistic limits. I think these six types are the mainstream of selflessness theory in Early Buddhism.
目次I. 시작하는 말 2
II. 무아 서술의 일반적 양상 6
III. 견해(diṭṭhi)로 자아 혹은 무아에 대한 거부 11
IV. 마치는 말 16
ISSN15980642 (P)
DOIhttp://doi.org/10.21482/jbs.69..202112.1
點閱次數28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69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